Tumgik
#神의塔
lunaticmoonarts · 4 years
Photo
Tumblr media
Hey everyone! I'm proud to say I've painted dowon properly this time! I wanna show you how important it is to take care of your health, rest when you need to, don't force your art to happen if you're too tired! Commissions : AVAILABLE! Twitter - https://twitter.com/LunaticmoonArt Redbubble - lunaticmoonart.redbubble.com Displate : @ LunaticmoonArt #animedrawing #art #aesthetic #paintingaesthetic ##神之塔 #artistoninstagram #dailyart #dailysketches #doodle #tog #togfanart #towerofgod #towerofgodfanart #webtoonfanart #anime #fanart #神의塔 #animefanart#sketchbookart #sketchdaily #sketchdump #sketching #style #stylised #aesthetic #commission #commissions #신의탑 #dailydoodles #grinding #digitalart (at Newtown, New South Wales) https://www.instagram.com/p/CCSkmPrDcUS/?igshid=1m9qputnzx9yz
5 notes · View notes
cool-test-things · 4 years
Photo
Tumblr media
                        鏡浦臺賦: 李栗谷(경포대부: 이율곡). 하나
​鏡浦臺賦  경포대부​
                李栗谷  이율곡
​ 訪風景而天地爲家兮   방풍경이천지위가혜
​鏡浦臺는 江陵府에서 15리 떨어진 지점에 있는 데 一名 鏡湖라고도 한다. 너비는 30리 가량 되는데 물빛이 환하게 맑아서 거울(鏡)면과 같다. 그러므로 그렇게 이름한 것이다.
湖水는 비록 넓고 長遠하나,깊어도 어깨가 잠기지 않고 얕아도 정강이 아래를 밑돌지 않는다. 그러니 정말 쟁반 속의 물과 같았다
옛날에는 亭子가 없었는 데,高麗 忠肅王 丙寅年(1326)에 이르러서 存撫使 朴公이 그 위에 정자를 짓고 安軸이 撰記를 지었다. 물 서쪽 언덕에 臺가 있고 대 곁에는 石臼가 있는 데 永郞이 煉藥한 곳이라고 세상에서 전한다. 동쪽에는 江門橋가 있고 강문교 밖에는 竹島가 있으며,죽도 북쪽에는 모래 언덕이 띠처럼 連해져서 호수와 바다의 한계를 이루고 있다. 언덕 안에는 落落長松이 숲을 이루고 人家가 어리비쳤다.또 梅鶴亭과 湖海亭이 있는 데,모두 뛰어난 勝景이다.
京城으로부터 大關嶺을 넘자면 그 岾에는 九曲이 있고 위에는 城隍堂이 있는 데 거기에 이르면 바다가 바라 보인다.  
訪風景而天地爲家兮   방풍경이천지위가혜 
율곡(栗谷)의 鏡浦臺賦는 아래와 같다.
한 기운의 유통하는 조화가   一氣流化   일기유화
응결되기도 하고 융화되기도 해라   爰結爰融
                                 원결원융 그 신비함을 바다 밖의 우리나라에 벌여 놓아   開慳祕於海外
                                            개간비어해외 청숙함을 관동(關東)에 모았도다   鍾淸淑於山東
                                종청숙어산동 맑은 물결은 천지에서 나뉘어   分淸派於天池
                             분청파어천지 한 개의 차가운 거울처럼 맑도다   湛一面之寒鏡
                                잠일면지한경 왼편 다리를 봉래산(蓬萊山)에서 잃어버려   失左股於蓬島.....1
                                         실좌고어봉도 두어 점의 푸른 봉우리가 나열했네  列數點之靑峯
                                  열수점지청봉 여기에 한 누각이 호수에 임하여   有閣臨湖
                                유각임호 마치 발돋움 자세로 날 듯하다   如跂斯翼
                              여기사익 비단 창문엔 서늘한 바람이 불어오고   引微涼於綺疏
                                    인미량어기소 누대의 단청(丹靑)엔 아침 햇빛이 비춰 주네   耀朝日於金碧
                                           요조일어금벽 아래로는 땅이 아득해   下臨無地   하임무지
성곽을 보고서야 겨우 분별하게 되고   見城郭而纔分
                                    견성곽이재분 위로는 하늘에 솟아 있어   上出重霄    상출중소
별을 잡아 딸 수 있네   拊星辰而可摘
                      부성신이가적 위치는 속세의 바깥이고   境是方外   경시방외
땅은 선경(仙境)에 들어 있어라   地入壺中   지입호중
물결은 학 위에 떠 있는 달을 머금고   波含鶴背之月
                                    파함학배지월 난간은 뱃머리의 바람을 받아들이네   軒納鷁頭之風
                                   헌납익두지풍 길 가는 사람은 다리를 건널 제   行人渡橋   행인도교
긴 무지개가 물속에 박힌 것을 보게 되고   見長虹之臥水
                                        견장홍지와수 신선 궁궐은 구름결에 솟아서   仙闕橫雲   선궐횡운
흡사 신기루가 허공에 뜬 것과 같구나   比海蜃之浮空
                                     비해신지부공 경포대의 봄철에는 춘신(春神)이 와서 머물매  其春也東君弭節
                                           기춘야동군미절 화창한 기운이 유행하니   灝氣流行  호기유행
동쪽과 서쪽에서는 꽃과 풀이 빼어남을 경쟁하고   東西兮花卉競秀   동서혜화훼경수          
위와 아래에는 물과 하늘이 함께 맑도다  上下兮水天同淸
                                       상하혜수천동청 유안의 실버들에는   柳岸金絲   류안금사
연기가 노래하는 꾀꼬리의 장막을 봉쇄하고   煙鎖流鶯之幕
                                          연쇄유앵지막 도원의 꽃에는   桃源花色   도원화색                    
이슬이 나는 나비의 날개를 적시네    露濕蝴蝶之翔
                                   로습호접지상 아른거리는 아지랑이는 뭉게뭉게 피어오르고   浮嵐藹藹
                                           부람애애 먼 봉우리는 아득하여라   遠峀茫茫   원수망망
향기로운 비는 어부 집에 뿌리고   灑香雨於漁店
                                쇄향우어어점 비단 물결은 모래톱에 일렁이누나   飜錦浪於沙汀
                                 번금랑어사정 이에 거문고를 뜯고 옷을 벗으면   於是鼓瑟解衣
                                어시고슬해의 기수에서 목욕하겠다던 증점의 즐거움을 본받고 싶고   抱曾點浴沂之樂   포증점욕기지락 바람에 임해 술잔을 들면   臨風把酒   임풍파주 온 세상의 근심을 남 먼저 근심한 범희문(范希文)의 심정을 일으키게 되네   藹希文憂世之情   애희문우세지정 여름철에는 염신(炎神)이 권세를 맡아   其夏也祝融司權
                                     기하야축융사권 만물을 길러 낸다   長養萬物   장양만물 갖가지 초목들은 제대로 발육되고   分草木之敷榮
                                 분초목지부영 혹심한 무더위는 극도로 치열해라   極流爍之煩熱
                                 극류삭지번열 찌는 듯한 불볕 더위는   炎炎火氣   염염화기 춘추(春秋) 때 진(晉)나라 조맹의 위엄에 견줄 만하고   日比趙孟之嚴   일비조맹지엄 첩첩이 솟은 기이한 봉우리의 구름은   疊疊奇峯
                                    첩첩기봉 도연명(陶淵明)의 시구(詩句)에 들어갈 만하다   雲入淵明之句
                                             운입연명지구 장맛비가 막 개고   積雨初霽   적우초제 뭇 냇물이 앞을 다투어 흐르도다   衆川爭赴山
                                중천쟁부산 산에는 모락모락 안개가 일고   烝烝而霧生
                             증증이무생 물은 도도히 흘러 파도가 넓어졌네   水溶溶而波闊
                                  수용용이파활 이에 난대에서 시를 읊으니  於是蘭臺詠賦  어시란대영부 ....2   초 양왕의 바람이 상쾌하고    快哉楚襄之風   쾌재초양지풍 전각에 서늘함이 생기니   殿角生涼   전각생량......3 당 문종의 긴 여름날이 사랑스럽네    愛此唐文之日
                                   애차당문지일​ 가을철에는 금신이 위세를 부려   其秋也金神按節
                               기추야금신안절 대지가 서늘해진다   大地凄涼   대지처량 기러기는 엉성한 전자(篆字)처럼 줄지어 날고   列疎篆以征鴈
                                            열소전이정안 서리는 나뭇잎을 붉게 물들이노라   染紅葉以淸霜
                                 염홍엽이청상 붉은 여뀌꽃 핀 언덕 가에는   紅蓼岸邊    홍료안변 백로가 출몰하는 물고기를 노리고   鷺窺遊魚之出沒
                                 로규유어지출몰 흰 마름 뜬 물가에는  白蘋洲畔   백빈주반 백구가 오가는 낚싯배에 놀란다    鷗驚釣舟之往來
                                구경조주지왕래 창문에는 어적 소리 들려오고   窓來漁笛    창래어적 바람은 뿌연 먼지를 쓸어 없애노라   風埽黃埃  풍소황애 드높은 하늘은 더욱 아득하고  天悠悠而益遠   천유유이익원 흰 달은 더욱 휘영청 밝네   月皎皎而增輝   월교교이증휘 이에 장한의 오주를 답습하여   於是踵張翰吳州
                             어시종장한오주 옥회와 은순의 맛에 배부르고   飽玉鱠銀蓴之味.....4
                             포옥회은박지미 소동파(蘇東坡)의 적벽부를 상상하며   追蘇仙赤壁
                                    추소선적벽 명월가와 요조시를 외운다   歌明月窈窕之詩......5
                                       가명월요조지시​ 겨울철에는 음기가 세차서   其冬也氣閉窮陰
                          기동야기폐궁음 물결이 얼어붙는다   凍鎖煙浪   동쇄연랑 시들어진 풀들은 이미 떨어져 버리고   凋百草其已零
                                    조백초기이령 외로운 소나무는 여러 길 우뚝 빼어나도다   秀孤松兮幾丈
                                          수고송혜기장 서릿바람은 땅에 부딪쳐    霜風振地   상풍진지 만 필의 말에서 나는 쇳소리를 내고   鳴萬馬之刀鎗
                                   명만마지도창 눈발은 허공에 나부껴    雪花飜空   설화번공 천 겹의 옥가루를 흩뿌린다   散千重之玉屑   산천중지옥설 우주는 아득하고   宇宙微茫   우주미망 산천은 삭막하다   山川索漠   산천삭막 먼 포구에는 오가는 배 끊어지고   征帆絶於遠浦
                                정범절어원포 겹친 산봉우리에는 앙상한 돌이 드러난다   瘦骨生於疊嶂
                                        수골생어첩장 이에 달빛 띠고 벗을 찾아가니   於是帶月尋友
                              어시대월심우 왕자유의 흥이 산음에서 다하지 않았고   王子猷興不盡於山陰
                                      왕자유흥부진어산음....6 쇠잔한 매화나무에 다시 꽃이 피니  殘梅返魂   잔매반혼 임 처사의 뼈가 호상에서 마르지 않았다   林處士骨未槀於湖上....7                                림처사골미고어호상
여기에 강산을 좋아하는 성벽을 지니고   有客江山性癖
                                      유객강산성벽 조정과 저자를 싫어하는 마음을 가진 한 나그네가 있도다    朝市心違   조시심위 빈 누각에서 오만한 웃음을 웃고   寄笑傲於虛閣
                                기소오어허각 이끼 낀 물가에서 맑은 여울을 구경한다   翫淸漪於苔磯
                                       완청의어태기 황학루 앞에는   黃鶴樓前   황학루전 꽃다운 풀이 맑은 냇물과 함께 아른거리고   芳草兼晴川共遠
                                         방초겸청천공원 등왕각 위에는  滕王閣上  등왕각상 조각 노을이 외따오기와 나란히 날도다   落霞與孤鶩齊飛
                                      락하여고목제비 이에 안목은 천하에 높고   玆以眼高九州
                         자이안고구주 정신은 우주에 노닐도다    神遊六合   신유육합 속된 마음은 물가의 난간에서 고요해지고   塵心靜於水軒
                                        진심정어수헌 속세의 정은 바람 통하는 의자에서 흩어지도다  世情散於風榻
                                            세정산어풍탑 금계가 울어 새벽을 알리면  金鷄唱曉   금계창효 부상 만경의 붉은 물결이 일고   挹扶桑萬頃之紅波
                              읍부상만경지홍파 옥토끼가 어둠 속에 솟아오르면   玉兔昇昏   옥토승혼 용궁 천 층의 흰 탑이 나타나도다   䫍龍宮千層之白塔
                                  부룡궁천층지백탑 상쾌하구나 사방을 바라보니   快哉騁眺   쾌재빙조 마치 신선이 된 것 같이 황홀하도다   怳若登仙   황약등선 모래를 밟으며 산보를 하고  踏煙沙而散步   답연사이산보 백조를 벗삼아 함께 졸도다   馴白鳥而共眠   순백조이공면 큰 파도가 일어나자   鯨濤起望中   경도기망중 붕새는 구만 리를 날고  大鵬擧兮九萬  대붕거혜구만 자라가 이고 있다는 선산(仙山)은 어디에 있느뇨  鰲岑在何處
                                              오잠재하처 아득한 약수 삼천 리나 되도다   弱水杳兮三千   약수묘혜삼천 이미 한 바퀴 유람을 마치고 나서   遊覽旣周   유람기주 한숨을 내쉬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喟然歎曰   위연탄왈 옛 현인들 떠나 버리니   前賢已矣  전현이의 지난 일들 까마득하구나   往事亡羊  왕사망양 안침(安琛)의 웅장한 글씨를 관람하고   覽竹溪之雄筆
                                     람죽계지웅필 조운흘(趙云仡)의 청아한 글을 읊노라   吟石澗之淸章
                                     음석간지청장 화재 당한 뒤에 중건한 것이라   火後經營   화후경영 애석하게도 전일의 화려한 모습을 잃었으니   悵失前日之華構
                                          창실전일지화구 물 가운데 있는 아름다운 배에는   水中蘭桂   수중란계 누가 옛날처럼 고운 미인을 실을 것인가   誰載昔時之紅粧
                                       수재석시지홍장 아 명예의 굴레가 사람을 얽어매고   噫名繮絆人   희명강반인
이욕의 그물이 세상을 덮어씌우도다   利網籠世   이강롱세 그 누가 속세를 초월하여 한가로움을 즐길 건가  孰囂囂而得閒
                                             숙효효이득한 모두들 이리 뛰고 저리 뛰다가 스스로 지치도다  咸役役而自弊
                                             함역역이자폐 벼슬 맛은 계륵과 같은 것이라   宦味同於鷄肋   환미동어계륵 세간의 영화를 믿기 어렵고   難恃寰中之榮   난시환중지영 명승 지역은 은퇴하여 살 곳과 유사한 것이라  名區類於菟裘
                                           명구류어토구 은거할 계획을 이룩할 만하노라  宜成林下之計  의성림하지계 곁에 있던 사람이 다음과 같이 참견했다   傍有一人曰
                                       방유일인왈   이미 이런 땅이 있으므로   旣有此地   기유차지 곧 이 대를 쌓았다오   便築斯臺   편축사대 영웅들의 남긴 감상이 상상되고   想英雄之遺賞
                               상영웅지유상 은자들의 배회하던 모습이 그리워집니다   懷隱逸之裵徊
                                       회은일지배회   경포대에 올라 마음껏 노닌 것이  登臨放情  등림방정   비록 한때의 즐거운 일이지만  縱一時之樂事   종일시지락사 아득히 자취가 없어   杳茫無迹   묘망무적 천고를 지나면 재가 되어 버릴 것이오   歷千古而成灰
                                                      력천고이성회 만약 몸에 덕을 쌓아   若夫德積于身   약부덕적우신 남들이 그 혜택을 입게 하고   物被其澤   물피기택 임금과 백성에게는 충성과 은혜를 베풀며    效忠惠於君民
                                                            효충혜어군민 덕업을 역사에 드리운다면   垂德業於竹帛   수덕업어죽백 영걸스러운 군주를 따라 공을 세우고  攀龍附鳳  반룡부봉 사후(死後)의 명예를 이룩할 것이오   可成身後之名
                                                     가성신후지명 그러니 뜻을 게을리 하고 자신을 잊어 가며   惰志忘形
                                                              타지망형 눈앞의 즐거움일랑 따르지 마시오   莫循眼前之樂
                                 막순안전지락​ 나그네는 웃으면서 다음과 같이 답했다   客笑而答曰
                                      객소이답왈​ 나아가 도를 행하고 물러나 숨는 것은 운수에 달려 있고  行藏由運   행장유운 화복은 시기가 있는 법   禍福有期   화복유기 구해도 얻을 수 없고   求之而不可得   구지이불가득 버려도 버릴 수 없는 것이라오   捨之而不能遺   사지이불능유 그만둘지로다 끝내 인력으로 취할 수 없는 것이며   已乎終非人力之可取   이호종비인력지가취 명이라 마땅히 조화의 하는 대로 따를 뿐이오  命也當聽造化之所爲   명야당청조화지소위 하물며 형상의 나뉨은 만 가지이나  而況形分雖萬
                                 이황형분수만   이치의 합함은 하나임에랴   理合則一   리합즉일 오히려 죽고 사는 것도 분변하지 못하거늘   尙不辨於死生
                                         상불변어사생​ 하물며 수명이 긴 것과 짧은 것을 구별하겠는가  矧有分於久促
                                             신유분어구촉​ 장주(莊周)는 내가 아니요 ���비는 외물(外物)이 아니니   周非我蝶非物   주비아접비물......8 참으로 꿈도 없고 진실도 없는 것이오   諒無夢而無眞
                                     량무몽이무진​ 범나라도 멸망치 못하고 초나라도 존재치 못하거늘  凡未亡楚未存   범미망초미존.......9 마침내 누가 득이고 누가 실이겠는가  竟誰得而誰失
                                   경수득이수실   그러므로 마음을 텅 비워 사물에 응하고  是故虛心應物
                                      시고허심응물​ 일에 부딪치는 대로 합당하게 할 것이오  觸事得宜   촉사득의 정신이 이지러지지 않아 내심이 지켜지면   神不虧而內守
                                                           신불휴이내수​ 뜻이 어찌 흔들려 밖으로 달리겠는가  志豈動而外馳
                                   지기동이외치​ 영달해도 기뻐하지 않고 곤궁해도 슬퍼하지 않아야  達莫喜窮莫悲   달막희궁막비 출세와 은거의 도리를 완전하게 할 수 있으며   庶全出處之道
                                                                 서전출처지도​ 우러러보아도 부끄럽지 않고 굽어보아도 부끄럽지 않아야    仰不愧俯不怍   앙불괴부부작 하늘과 사람의 꾸지람을 면할 수 있다오  可免天人之譏
                                                         가면천인지기​ 또한 억제하기 어려운 것은 정이고  且夫難制者情
                                                 차부난제자정​ 넘치기 쉬운 것은 기이니  易盪者氣   이탕자기 만일 함양하는 기틀을 잃는다면  苟操養之失機
                                            구조양지실기​ 반드시 제멋대로 놀아나서 뜻을 잃을 것이오  必流佚而喪志
                                                               필류일이상지​ 명예를 구하고 이익을 구하는 것은  求名求利   구명구리 정말 성정을 해치는 일이지만  定有害於性情   정유해어성정 산을 좋아하고 물을 좋아하는 것은  樂水樂山   요수요산 대부분 인과 지를 사모한 것이라오  竊多慕於仁智  
                                                 절다모어인지​ 그러나 선비가 세상에 태어나서  雖然士生於世
                                            수연사생어세​ 그 자신을 사사로이 하지 않고  不私其身   불사기신 혹시 풍운제회(風雲際會)를 만난다면  倘遇風雲之會
                                                    상우풍운지회 마땅히 사직을 위하는 신하가 되어야 할 것이오  當成社稷之臣
                                                                   당성사직지신​ 융중의 제갈량(諸葛亮)이    隆中臥龍   륭중와룡 비록 문달(聞達)을 구한 선비가 아니었지만   縱非求聞之士
                                                              종비구문지사​ 위천의 여상(呂尙)이   渭川漁父   위천어부 어찌 세상을 잊어버린 사람이었겠는가   豈是忘世之人
                                                       기시망세지인​ 아, 바람 앞의 등불 같은 백년 인생   嗚呼風燈百年
                                                    오호풍등백년​ 넓은 바다의 좁쌀처럼 초라하기 그지없다오   滄海一粟
                                                              창해일속​ 얼음을 의심하는 여름 벌레를 가소롭게 여기고   哂夏虫之疑冰
  ......10                                                       신하충지의빙​ 절대적인 경지를 보는 달관한 사람을 사모하오   思達人之見獨
                                                                   사달인지견독​ 그러니 풍경을 찾아서 천지를 집으로 삼을 것이지   訪風景而天地爲家兮   방풍경이천지위가혜 어찌 부질없이 고국을 그리워하던 중선을 본받을 필요 있겠는가  何必效仲宣11之空懷故國也哉   하필효중선지공회고국야재.
1 note · View note
yoonsojoongblog1 · 3 years
Text
후천(后天)의 천지사업(天地事業)이 지심대도술(知心大道術) 하나 뿐이로다
작성일2020.08.05. 08:56조회 23
29. 어느날 신정공사(神政公事)에서 고후비님(高后妃任)이 강화(講話)하시니 이러하니라
삼십삼천(三十三天) 내원궁(內院宮) 용화교주(龍華敎主) 자씨부인(慈氏夫人) 천지정위(天地定位)하신 수부(首婦)손님 보은(天地報恩)이요
천황씨(天皇氏) 후예(後裔)로 도술조화(兜率造化)라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
조화임의(造化任意) 천개탑(天啓塔)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육자대명왕진언(六字大明王眞言)이요 옴마니 반메홈
천지(天地)가 벌어져 천지도술(天地道術)이 나오시고
천지(天地)가 벌어져 조화정치(造化政治)로 되는구나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천강서(天降書)이니 너희가 깨달아라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 나무가 타면 불이 된다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만리(萬里) 밖에도 보임이라
사해팔방(四海八方) 들어서니 용왕삼신(龍王三神) 공력(功力)으로 기신사업(己身事業) 되는구나
저희 각기(各己) 오장육부(五臟六腑) 통제공부(統制工夫)로 제몸 하나 기신사업(己身事業)할 줄 알아야 하느니라 하시더라
註 기신사업(己身事業)… … …거구왈기(去舊曰己)요 기즉자기(己則自己)이니 시고(是故)로 자기신고부운회(自己神古峊雲回)요
생신왈신(生新曰身)이니 신즉재생신야(身則再生身也)니라.
(선도신정경 제3장 선도신정 29절)
30. 어느날 신정공사(神政公事) 후(後)에 고후비(高后妃)께서 전선필(田先必)에게 가라사대 후천(后天)의 천지사업(天地事業)이 지심대도술(知心大道術) 하나 뿐이로다
각자(各者) 자기(自己)에게 달려 있나니라 알았거든 잘 하도록 하라 하시며 창(唱)하시니 이러하니라
일왈(一曰) 통(通)이요 이왈(二曰) 개안(開眼)이요 [개안(開眼)이라 함은 심개영안(心開靈眼)의 약어(略語)니라]
삼왈(三曰) 포계(布計)니라 [포교(布敎)를 잘못 듣고 포계(布計)라 전함이 아닌가 생각되니라]
이 모두가 대서(大暑)에 생장(生長)하고 입추(立秋)에 결실(結實)하게 되리로다 하시더라.
(선도신정경 제3장 선도신정 30절)
31. 어느날 신정공사(神政公事) 후(後)에 고후비(高后妃)께서 전선필(田先必)에게 가라사대 내 마음을(心) 네가 알고 네 마음(心)을 내가 아나니 철주(鐵柱)를 하나 꼭 세우고 그 자리에 가만히 서 있으라
그러면 평천하(平天下)는 내가 할 것이니 너는 듣고 보고 잊지 말고 들은 바를 꼭 기억(記憶)하여 두도록 하라 하시니라.
(선도신정경 제3장 선도신정 31절)
32. 또 어느날 공사(公事)에서 고후비님(高后妃任)이 가라사대 왕고(往古) 삼국시절(三國時節)의 관운장과(關雲將) 인조시절(仁祖時節)시절에 진묵당(震黙堂)은 나의 보필(輔弼)이니 증산(甑山)과 나의 사략(史略)을 쓸 사람은 진묵(震黙) 밖에 없느니라.
편오산(偏烏散) 한첩(一帖) 정무기경신(丁戊己庚辛) 사오미신유(巳五未申酉)
육팔(六八) 사십팔(四十八) 강일순(姜一淳) 하시더라.
(선도신정경 제3장 선도신정 32절)
33. 또 어느 날은 도중(道衆)에게 이르시니 이러하니라
정자관(亭子冠)이라 하며 뿔(角)이 있는 것이요 그냥 관(冠)이라 하면 뿔(角)이 없는 것이니라 그런고로 튀어나면 뿔 잡히나니 세상 인간에게 폭 잡히는 일은 튀어나온 까닭이라
그래서 나는 세상(世上) 인간(人間)에게 폭 잡히는 일은 못하노라 하시더라.
(선도신정경 제3장 선도신정 33절)
0 notes
jhqwrhbajuf · 3 years
Text
┍운세보기 ㈑ 고구려의 영탑사ㅗ
고구려의 영탑사 『승전(僧傳)』에는, “승려 보덕(普德)의 자는 지법(智法)인데 전 고구려 용강현(龍岡縣) 사람이다.”라고 하였다. 자세한 것은 아래의 「본전」에 나온다.보덕은 늘 평양성에 머물렀는데, 암자의 늙은 중이 와서 불경을 강의해 주기를 청하였다. 스님이 굳이 사양했지만 어쩔 수 없어서 『열반경(涅槃經)』 40여 권을 강의해 주었다. 강의를 마치자 성 서쪽 대보산(大寶山) 바위굴 밑에 이르러 참선을 하는데, 신인(神人)이 와서는 이곳에 머무는 것이 좋겠다고 청하였다. 그리고 지팡이를 앞에 놓고 땅을 가리키며 말하였다.“이 속에 8면 7층 석탑이 있을 것이다.”그래서 그 땅을 파보았더니 과연 그 말과 같았다. 이로 인해 절을 세워 영탑사(靈塔寺)라 하고 그곳에서 살았다.僧傳云 釋普德 字智法 前高麗龍岡縣人也 詳見下本傳常居平壤城 有山房老僧 來請講經 師固辭不免 赴講涅槃經四十餘卷 罷席 至城西大寶山嵓穴下禪觀 有神人來請 宜住此地 乃置錫杖於前 指其地曰 此下有八面七級石塔 掘之果然 因立精舍 曰靈塔寺 以居之 소띠 - 생각하기에 별 것 아닐 수 있지만, 때로는 큰 일로 번질 수 있다. 자신의 판단과 결정을 믿기 보다는 지인의 도움으로 슬기롭게 해결해야 한다. 49년생 : 자신의 운명의 기회를 잡는 것도 놓치는 것도 자신의 현명한 판단력에 달려있다. 61년생 :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절대로 무리하지 마라. 73년생 : 주변 사람들의 도움이 원하는 것을 이루는 데 큰 역할을 해준다. 85년생 : 자신의 능력 이상의 것은 다른사람에게 의뢰해야 한다. 97년생 : 비밀이나 숨겨왔던 일이 드러나 트러블이 생길 수 있다.
0 notes
iuqwrhuys · 3 years
Text
‰SKT AI 스피커로 ‘아리아’ 부르면 지구촌 어린이 돕는다 ∥ 서대문구⁴
서대문구 정의 서울특별시 서북부에 위치한 구. 개관 동쪽은 종로구, 서북쪽은 은평구, 남쪽은 마포구와 접하고 있다. 위치는 동경 126°54'~126°58', 북위 37°33'~37°36'이다. 면적은 17.61㎢이고, 인구는 31만 2141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4개 행정동(20개 법정동)이 있으며, 구청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동에 있다. 자연환경 북한산의 말단에 위치하며 인왕산, 안산, 백련산 등의 산줄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산사면을 따라 높고 낮은 형세로, 택지는 홍제천 주변에 있다. 광주산맥의 말단부에 해당하며 인왕산(仁王山, 338.2m)·안산(鞍山, 295.9m)·백련산(白蓮山, 215.5m) 등 세 개의 봉우리가 잔구(殘丘)의 형태로 솟아있다.지형적 이유로 북쪽 비봉에서 발원하여 내려오는 불광천과 백련산 동쪽을 감싸고 흐르는 홍제천[일명 사천(沙川)]이 있고, 안산과 인왕산 사이를 흘러 내리는 만초천(蔓草川, 일명 욱천)이 있으며 모두 한강으로 흘러 들어간다.한강 연안에 위치하고 있어 편서풍대의 영향을 받아 연평균 기온은 12.5°C, 1월 평균기온은 -3.2°C, 8월 평균기온은 25°C이며, 연 강수량은 1,200mm 내외이다. 역사 이 지역에서 발견된 구석기·신석기 시대 유적은 아직 없다. 그러나 이 지역이 한강 하류에 위치하고 있고, 한강 유역의 하남시 미사리 유적이나 강동구 암사동 유적에서 선사 시대 인류가 살았던 흔적이 발견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지역에도 구석기 시대에 사람이 살았을 것으로 짐작된다.고대국가로서 마한이 이 일대를 장악하고 있었으나 서기전 18년 부여계 고구려 유이민인 온조(溫祚)가 남하하여 한강 유역에 백제국(伯濟國)을 건국하고 점차 마한제국을 병합하여 삼국 중 하나인 백제로 성장하였다. 백제는 한강 유역을 차지한 후 475년 고구려의 남하로 수도를 공주로 옮길 때까지 500여 년간 이 일대를 지배하고 있었다. 고구려 장수왕은 백제의 한성을 공격하여 개로왕을 살해함으로써 백제를 한강 유역에서 완전히 몰아내고 장악하였고, 이 일대에 북한산군(北漢山郡)을 설치하여 80여 년간을 다스렸다.신라는 백제와 동맹을 체결하여 한강 유역을 차지한 후 동맹을 파기하고 이 일대를 독차지하여 북한산주(北漢山州) 혹은 신주(新州)를 두어 관리하였다. 한강 유역을 차지한 신라는 당나라와 직접적인 교섭을 통해 고구려·백제에 대항하였다. 이후 통일을 달성한 신라는 전국을 9주로 나누면서 한강 유역을 한산주(漢山州) 또는 한주(漢州)로 개칭하고 한강과 접하고 있는 서울 지역에는 따로 한양군을 두었다.후삼국시대 양길의 부하였던 궁예(弓裔)가 895년 한산주 관내의 10여 성을 복속시킴에 따라 궁예의 휘하에 들어갔다가 왕건(王建)이 건국한 고려에 귀속되었다. 이 일대는 고려 초에는 양주(楊州, 이때의 양주는 지금의 양주군이 아니라 고려 초 서울의 이름이다), 문종 이후 충렬왕 때까지는 남경(南京), 충선왕 이후 고려 말까지는 한양이라 불리었다. 983년(성종 2) 전국에 12목을 설치하여 지방통치체제를 정비할 때 양주목에 속하였고, 1018년(현종 9)에는 지주사(知州事)로 격하되어 광주목(廣州牧)의 관내에 예속되었다. 이어 1067년(문종 21) 한강 북부지역에 남경을 설치하면서 서경(西京)·동경(東京)과 함께 삼경체제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1068년에는 남경이궁(南京離宮)을 설치하고, 남경으로의 천도론이 제기되어 1101년(숙종 6) 9월 남경개창도감을 설치하여 본격적인 남경 궁궐 후보지를 물색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1104년 지금의 청와대 부근에 새 궁궐이 낙성되어 왕이 친행해 점검하는 등 거의 천도가 실현될 단계까지 이르렀으나, 이듬해 왕이 죽자 실천되지 않았다.그 뒤 무인정권과 몽고침략 등의 정치적·군사적 시련을 겪는 사이에, 남경은 서경과 함께 국왕 순주(巡駐)의 이경(離京)으로서의 가치가 감소되어 1308년(충렬왕 34)에 한양부(漢陽府)로 개칭되었고, 유수를 윤으로 고치는 것 외에도 판관과 사록 등의 관직을 두었는데 이는 그 지위가 격하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공민왕 때 이르러 원과의 기반을 끊고 과거의 폐정을 혁신함과 동시에 새로 도읍을 ���길 것을 계획했는데, 이때 천도의 유력한 후보지로 과거의 남경인 한양이 물망에 올랐다. 그 뒤 왜구의 침략으로 조운이 원활하지 않자 개경에까지 영향이 미쳤고, 곧이어 수도의 안보문제가 거론되자 또다시 한양천도론이 제기되었다. 이리하여 우왕 때는 한양천도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고 추진되어 한때 실현되었고, 공양왕 때에도 일시 한양천도가 있었다. 그러나 다시 개경으로 환도했다가 신왕조인 조선의 개창을 계기로 천도문제는 마침내 최종적인 결정을 보게 되었다.고려 말부터 대두되던 한양천도론은 조선이 개창되면서 본격적으로 논의되었다. 개경에 정치적 기반이 없었던 태조 이성계는 새로운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신도읍이 필요했고, 이러한 요건을 갖추고 있었던 곳이 바로 한양이었다. 태조는 다양한 논의를 거쳐 1394년(태조 3) 8월 24일 한양을 새로운 도읍지로 확정하였다. 이어 9월 1일 궁궐 건설의 실무를 담당 추진하기 위한 기관인 신도궁궐조성도감(新都宮闕造成都監)을 설치하였고, 9월 9일에는 한양에 대한 도시계획의 일환으로 궁궐·종묘·사직과 도로의 건설, 각종 관아의 배치 등 기본계획을 작성하도록 지시하였다.수도 건설을 위한 궁궐 공사가 진행되는 가운데 태조는 1394년 10월 25일 천도를 단행하여 3일 후인 10월 28일 한양에 도착하였다. 이어 이듬해 12월에 조선시대 정궁(正宮)인 경복궁이 완공되어 비로소 궁에 들어갈 수 있었다. 이후 한양부(漢陽府)를 한성부(漢城府)라 고치고 이듬해 9월에는 도성과 문루를 완성하였다. 그리고 한성부의 행정구역을 동·서·남·북·중 5부(部) 52방(坊)으로 나누어 도시 규모를 정비하였다. 이로써 명실상부한 조선의 수도로서 한성이 탄생된 것이다. 당시 서대문구에 해당하는 지역에 도성의 4대문 가운데 하나인 돈의문(敦義門, 서대문이라고도 함)이 건설되어 이 일대의 지명이 되었다.서대문구 일대는 조선시대 한성부 서부의 반석방(盤石坊)·반송방(盤松坊)과 북부의 성저십리(城底十里) 이내에 해당하는 상평방(常平坊)·연은방(延恩坊)·연희방(延禧坊) 지역이었다.1911년 4월 1일 5부 8면제가 실시됨에 따라 이 지역은 서부 반석방 반송방과 연희면(延禧面) 지역이 되었다. 1914년에는 서대문구의 행정구역이 축소되면서 용강면(龍江面)·연희면·은평면(恩平面) 지역이 고양군에 속하였고, 현 충정로 일대는 죽첨정(竹忝町) 등이 일제식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동시에 이 일대는 서대출장소 관할이 되었고, 1915년에는 경성부 직할로 변경되었다. 1936년 고양군에 속했던 이 지역의 대부분이 경성부로 편입되었고, 1943년 출장소 대신 구(區)제도가 실시되면서 이곳은 서대문구역소(西大門區役所)에 속하게 되었다. 이어 1944년 마포구역소가 신설되면서 서대문구 관할구역의 일부가 마포구역소로 넘어갔다.1945년 10월 16일 구역소를 구청으로 하고 구장(區長)을 구청장(區廳長)으로 개칭하면서 서대문구역소도 서대문구청으로 바뀌게 되었다. 1949년 은평면 11개 리와 연희면 7개 리를 서울에 편입하여 서대문구 은평출장소에 편입하였으며, 1955년에는 종래의 동회(洞會)를 동(洞)으로 개칭하고 각 구청에 행정동을 따로 정하여 행정업무를 담당하도록 함에 따라 서대문구에는 53개의 행정동을 두게 되었다. 1962년에는 대신동을 신설하였고, 1964년에는 서대문구의 노고산동과 대현동 일부가 마포구에 편입되고, 마포구의 아현동 일부가 서대문구로 편입되었다. 1970년 동명칭과 관할구역을 변경하면서 행정동을 53개에서 41개 동으로 축소하였다.1973년에는 진관동을 신설하였고, 연희동 일부가 마포구로 그리고 마포구의 동교동과 서교동 일부가 서대문구로 편입되었다. 1975년 대규모의 구관할구역 변경에 따라 서대문구 관할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즉 서대문구 관할의 평창동, 구기동, 부암동, 홍지동, 신영동, 행촌동, 송월동, 홍파동, 평동과 교남동, 교북동, 현저동, 충정로1가의 각 일부가 종로구에 편입되었고, 서소문동, 정동, 순화동, 의주로2가, 중림동과 의주로1가, 충정로1가, 합동, 충정로3가, 만리동1·2가의 각 일부는 중구에 편입되었다. 또한 상암동, 성산동과 수색동, 중동, 남가좌동, 연희동 각 일부를 마포구로 넘겨주고 만리동1·2가 일부를 용산구에 넘겨 주었으며, 마포구의 동교동 일부를 서대문구에 편입하여 행정동이 42개 동에서 37개 동으로 축소되었다.1977년에는 북가좌2동과 증산동을 신설하였고, 1978년에는 영천동을 폐지하였다. 이어 1979년 은평출장소를 없애고 은평구청을 신설하면서 서대문구 중 녹번동, 불광동, 갈현동, 구산동, 대조동, 응암동, 역촌동, 신사동, 증산동, 진관내동, 구파발동, 수색동 등 13개 동이 서대문구 관할에서 제외되어 종래 39개동이 23개 동으로 축소되었다.1980년에는 홍은4동이 홍은2동으로, 1983년에는 홍제1동 일부가 홍제2동에 편입되었다. 그리고 1989년에는 대현동 일부가 북아현3동으로, 북아현3동 중 일부가 충정로3가에 편입되었다. 1998년에는 현저동이 천연동에 편입됨에 따라 서대문구에는 14개 동이 있다. 유물·유적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에는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白磁鐵畵葡萄文항아리, 국보 107호)를 비롯하여 월인석보(月印釋譜, 보물 제745호), 백자 철화운룡문 항아리(白磁鐵畵雲龍文항아리, 보물 제645호), 백자 청화송죽인물문 항아리(白磁靑華松竹人物文항아리, 보물 제644호), 고구려 평양성 석편(高句麗平壤城石片, 보물 제642호), 기사계첩(耆社契帖, 보물 제638호), 청자 투각고리문 ���자(靑磁透刻連環文의자, 보물 제416호),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7(紺紙銀泥妙法蓮華經卷7, 보물 제352호), 전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傳楊平 菩提寺址大鏡大師塔, 보물 제351호),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靑磁淳化四年銘항아리, 국보 제326호) 등을 소장하고 있다. 또한 연세대학교박물관에는 봉업사명 청동북(奉業寺銘靑銅金鼓, 보물 제576호)이 있다.사적으로는 서울 독립문(사적 제32호)과 서울 연세대학교 스팀슨관(사적 제275호), 서울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관(사적 제276호), 서울 연세대학교 아펜젤러관(사적 제277호)와 서울 구 서대문형무소(사적 제324호), 서울 영은문 주초(迎恩門柱礎, 사적 제33호)가 있다.이외 무악산 동봉수대 터(毋岳山東烽燧臺터, 서울특별시 기념물 13호), 양호거사비(楊鎬去思碑,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91호), 화산군 이연 신도비(花山君李渷神道碑,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41호), 옥천암 마애좌상(玉泉庵磨崖坐像,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17호) 등이 있다.홍은동의 백련사(白蓮寺)는 신라 때인 747년(경덕왕 6)에 진표율사(眞表律師)가 창건한 사찰로 경내에는 명부전(冥府殿)·삼성전(三星殿)·극락보전(極樂寶殿)·범종각(梵鐘閣)·원통전(圓通殿) 등이 있고, 절문 앞에는 사령지취락(寺領地聚落)이 형성되어 있다. 봉원동에 있는 봉원사(奉元寺)는 신라 때인 889년(진성여왕 3)에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창건한 사찰로 대웅전·명부전·칠성각 등 11동의 건물이 남아있고, 그 중 염불당(念佛堂)은 마포 공덕리에 있던 대원군의 아소정(我笑亭)을 옮겨 온 것이다. 또한 인왕산 선바위 앞에 있는 인왕사(仁王寺), 홍은동의 옥천암(玉泉庵), 봉원동의 용암사(龍岩寺) 등의 사찰이 있다.대현동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에는 왕비록 원삼(王妃錄圓杉, 중요민속문화재 제63호), 적초의(赤綃衣, 중요민속문화재 제62호), 청초중단(靑綃中單, 중요민속문화재 제61호) 등의 중요민속문화재들이 있다.또한 영산재·봉산탈춤·단청장 등이 있는데, 영산재(靈山齋, 국가무형문화재 제50호)는 봉원동의 박희덕(朴喜德), 봉산탈춤(국가무형문화재 제17호)은 홍제동의 윤옥, 단청장(丹靑匠, 국가무형문화재 제48호)은 봉원동의 이치호(李致虎),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은 홍은동의 이강덕이 보유자로 지정되어 있다. 칠장(漆匠,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1호)은 연희동의 홍동화(洪東和), 은공장(銀工匠,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17호)은 홍제동의 김원택(金元澤)이 보유자이다. 교육·문화 이 지역은 일찍부터 근대교육기관이 있었다. 초등학교로는 1896년 한성공립소학교(漢城公立小學校)에서 출발한 미근동의 미동초등학교, 1937년 개교한 홍은동의 홍제초등학교, 1941년 설립된 북아현동의 북성초등학교 등이 있다.중·고등학교로는 1921년 순종의 하사금을 받아 향상기술학교(向上技術學校)로 출발한 동명여자중학교, 1922년 손창원(孫昌源)의 인창의숙(仁昌義塾)으로 시작한 인창중·고등학교, 1928년 경성실업전문학교로 출발한 한성중·고등학교, 1940년 경성가정여숙(京城家政女塾)으로 출발한 중앙여자중·고등학교 등이 있다.2015년 현재 초등학교 18개교, 중학교 14개교, 고등학교 7개교, 특수학교 1개교가 있다.특히 많은 대학이 이 지역에 있어 명실상부한 교육의 중심부로서의 역할을 가지고 있다. 1885년 선교사 알렌(H. N. Allen)이 설립한 광혜원(廣惠院)에서 비롯된 세브란스의과대학이 1957년 연희대학교와 통합하면서 연세대학교가 들어섰고, 1886년 선교사인 스크랜턴(M. F. Scranton)이 한 명의 여학생을 대상으로 수업한 것이 계기가 되어 이듬해 이화학당으로 설립된 이화여자대학교 그리고 1905년 미국 감리교회 한국선교부에서 설립한 감리교신학대학 등이 모두 광복 이전에 설립된 학교들이다. 이 외에도 서울여자간호대학·명지전문대학·명지대학교·경기대학교·추계예술대학교 등 많은 사립학교들이 있다. 이 외에도 신촌동에 있는 연세대학교 재활학교와 외국인 2세를 위한 연희동의 서울외국인학교와 한성화교중·고등학교 등이 있다.이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문화단체로는 창작미술협회, 한국현대판화회, 한국조각공원연구회, 김자경오페라단 등 10여 개 단체가 꾸준히 활동하고 있고, 대현동에 있는 한국전통예술연구보존회는 사물놀이의 대표인 김덕수가 조직하여 전통예술을 보존하고 보급시키고 있다.또한 현대적 전시관과 문화관이 함께 있는 곳으로는 구민회관을 비롯하여 서대문문화회관이 있다. 서대문문화회관은 1993년에 지상 3층 규모로 개관하여 80여 평 규모의 갤러리, 문화의 집 및 어학, 취미, 공예미술, 국악, 교양문화, 컴퓨터 등의 강좌를 개설 운영하고 있으며, 180석 규모의 소극장과 600석 규모의 대극장 등 다목적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박물관으로는 연희동의 서대문자연사박물관과 연세대학교박물관·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이화여자대학교 자연사박물관 등이 있다.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은 자연스럽게 동·식물과 접하면서 청소년의 교육공간, 주민들의 문화공간, 가족들의 휴식공간으로 다양한 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에는 국보 및 보물만 10여 점을 소장하고 있다.2004년 완공된 연희동의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은 약 1만 m²에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건립되어 지구의 탄생과 변화, 생명체의 다양한 모습과 흔적 등이 주제별로 꾸며져 있다. 1층에는 ‘인간과 자연관’을 만들어 쥐라기 육식공룡인 티라노사우루스의 머리뼈를 포함해 중생대 백악기 공룡들의 골격 등이 전시되어 있고, 무분별한 광산 개발로 인해 파괴된 산림을 보여주는 ‘신음하는 자연’과 한강에 서식하는 동식물을 전시한 수족관도 눈길을 끈다. 2층 ‘생명진화관’은 태초의 생명이 현재의 인류로 진화한 과정을 전시하는 곳으로 서해안에서 발견된 스트로마톨라이트를 볼 수 있다. 3층 ‘지구환경관’에서는 입체 안경을 끼고 빅뱅부터 지구가 형성되는 과정을 3차원 영상으로 볼 수 있다. 동굴관은 벽과 천장이 실제 동굴처럼 꾸며져 있다.현저동에 있는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은 김구, 강우규를 비롯한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이 거쳐 갔던 옛 서대문 형무소 보안과 청사와 옥사로 사용하던 곳이다. 역사현장으로 남기기 위해 옥사와 사형장, 망루와 시구문 등을 원형대로 복원하여 보존하고 있다1924년 개관한 신촌동 연세대학교 중앙박물관은 우리나라 대학박물관의 효시라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의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의 전통문화와 이에 연관된 여러 지역의 문화자원까지도 개발·수집·연구하고 이를 보존 전시하여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고 있다. 1988년에는 100주년 기념관의 준공으로 이곳에 선사·역사·미술·민속·질그릇·전각·학교사·지질·동식물 등의 9개 상설전시실과 특별기획전시실, 야외전시장을 갖춤으로서 대학박물관으로서는 처음으로 종합박물관의 기능을 갖추게 되었다.대현동의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은 1935년 일제 치하에서 우리 문화유산을 보존하고자 교수와 학생들이 모은 민속품, 목공품, 도자기 등을 본관 1층에 진열, 전시한 것이 창설의 계기가 되었다. 이후 귀중한 문화재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1990년 현재의 박물관을 신축하여 개관하였다. 또한 이화여자대학교 자연사박물관은 지각을 구성하는 암석과 광물을 비롯해 국내에 서식하는 동물과 식물 등을 연구하기 위해 1969년에 설립되었다.이 외에도 현대적 전시관과 문화관이 함께 있는 곳으로는 구민회관을 비롯하여 서대문문화회관이 있다. 서대문문화회관은 1993년에 지상 3층 규모로 개관하여 80여 평 규모의 갤러리, 문화의 집 및 어학 취미 공예미술 국악 교양문화 컴퓨터 등의 강좌를 개설 운영하고 있으며, 180석 규모의 소극장과 600석 규모의 대극장 등 다목적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이 지역의 스포츠는 구에서 운영하는 체육회 외에 생활체육협의회가 있어 일상생활과 밀접한 스포츠 활동이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다. 스포츠시설로는 공원이나 하천부지 혹은 야산에 운동기구가 설치되어 시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 있다. 홍은동에는 서대문구립인조잔디축구장, 가좌배수지 배드민턴장과 테니스장, 홍은동 테니스장, 백련약수터, 논골그린공원, 옥척암녹지대, 실락어린이공원이 있다. 그리고 연희동에는 궁둥산 배드민턴장, 연홍약수터, 안산팔각정, 연서어린이공원이 있으며, 홍제동에는 둔치체육시설, 홍제3동 농구장, 불천어린이공원이 있다. 그 외 봉원동의 봉원사배드민턴장, 천연동의 금화테니스장과 동명여중 담장, 북아현동의 금화체력단련장, 창천동의 골목길공원과 바람산공원 등의 각종 스포츠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민속 정월 초하루에는 설날을 맞아 각 가정에서 차례를 지내고 세배를 드리는 풍속이 남아있다. 정월 열나흘에는 오곡밥 먹기, 정월 대보름의 부럼깨기와 더위팔기, 윷놀이, 연날리기 등이 행해진다. 사월 초파일에는 절에 가서 연등달기, 칠월 복중에 개고기와 삼계탕 먹기, 추석 차례와 성묘가기, 동지 때 팥죽 먹기 등의 세시풍속이 펼쳐진다. 특히 정월대보름에 펼쳐지는 지신밟기는 지역의 대학생들과 동네 주민이 한데 어울려 펼쳐지는 행사로 주목받고 있다.민속놀이로는 정월대보름에 행해지는 새터지신밟기가 있다. 이는 신촌의 옛 이름인 새터에서 인근의 4개 대학, 연세대·이화여대·서강대·홍익대의 풍물패가 주최하고 대학생과 지역 주민이 함께 어우러져 동네 곳곳을 다니며 지난해의 묵은 액을 씻어내고 새해에 복이 깃들기를 기원하는 행사이다. 이 놀이는 1993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우리문화 한마당공연과 윷놀이대회 등도 곁들인다.또한 봉원사에서는 영산재가 펼쳐지는데, 이 행사는 영산재 인도 영취산에서 부처님이 법화경을 설법할 때의 모습을 재현한 불교의식으로,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이 다 함께 부처님의 참 진리를 깨닫고 고통이 없이 즐거움만을 얻는 경지에 이르게 하는데 의의가 있다. 설화·민요 이 지역에는 무악재가 있어 예로부터 호랑이와 관련된 이야기가 많이 전해지고 있다. 무악재는 많은 사람들이 동행하는 길목이었으나 호랑이가 자주 나타나 국가에서 유인막(留人幕)을 설치하여 호랑이로부터의 피해를 줄이고자 하였던 곳이다. 그 중에 효자리라는 마을 이름의 유래가 된 이야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지금으로부터 수백 년 전 한성부판윤을 지낸 박창선(朴昌先)에게 효성이 매우 지극한 조상이 한 분 있었다고 한다. 선대조 박씨는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뒤부터 하루도 빠짐없이 한성의 집에서 경기도 고양군 신도면에 있는 아버지의 묘소를 참배하였다 한다. 이 날도 박씨가 아버지의 묘소를 향해 가고 있는데, 무악재에 이르자 어두컴컴한 숲속에서 갑자기 호랑이 한 마리가 나타났다. 박씨가 깜짝 놀라 “나는 선친의 묘에 가는 길이다. 나를 잡아먹으려거든 잡아먹으라.”하고 큰소리를 쳤다. 그러자 호랑이는 박씨 앞으로 다가와서 넙죽이 엎드리더니 등에 타라는 몸짓을 하였다. 박씨는 호랑이 등에 탔고, 박씨를 태운 호랑이는 산봉우리를 몇 개나 넘어 달려 당도한 곳은 박씨의 선친묘 앞이었다. 그제야 마음을 놓은 박씨가 묘소에 참배하였는데, 호랑이는 다시 박씨에게 타라는 시늉을 하였다. 박씨는 올 때와 같이 호랑이 등에 타고 무악재까지 왔는데, 호랑이는 박씨를 내려놓고 어디론가 사라져 버렸다. 그리고 다음 날도 또 다음 날도 박씨가 무악재에 이르면 그 호랑이가 나타나 그를 태우고 다녔다. 이렇게 하기를 몇 해가 지났고 박씨가 병들어 죽자 그 역시 고양군 신도면 선영에 장사 지냈다. 훗날 집안사람들이 박씨의 묘에 가 보니 묘 앞에 큰 호랑이 한 마리가 죽어 있었다고 한다. 이 이야기가 대궐에까지 들리자 임금이 감탄하여 ‘하늘이 내린 효자’라 하여 하사금을 내려 묘 옆에 사당을 짓고 효자정문을 세웠다. 이때부터 그 부근 마을을 효자리라고 하였다. 지금도 행정명으로 고양군 신도면 효자리가 남아있으며, 이 밖에도 또 다른 호랑이와 관련된 설화가 있다. 산업·교통 토지의 26.6%가 임야이고 경지는 전체 토지의 0.4%이다. 대지 41.0%, 학교용지 12.3%, 도로 12.1%, 하천 2.4%, 철도용지 1.2%로 임야와 대지의 비율이 높다.산업 인구 가운데 제조업 종사자는 5.5%, 도소매업이 16.2%, 숙박 및 음식업이 16.3%, 운수업 7.5%, 통신업 1.0%, 금융보험업 6.2%, 사업서비스업 6.4%, 교육서비스업 11.1%, 보건 및 사회복지사업 9.5% 등 다양한 분포를 보이고 있다. 전체 사업체 수 가운데 1~4명의 종사자를 가지고 있는 사업체가 전체의 88%로 압도적 위치를 차지하고, 1,000명 이상의 사업체는 6개 업체에 불과하다.예로부터 이 지역은 도성을 나와 평안도의 의주로 통하는 큰 도로가 있어 사신들이 홍제원에 머물렀다 가는 곳이었기 때문에 많은 인파가 왕래하던 곳이었다. 또한 근대에는 경의선이 가설되면서 철로를 통한 왕래가 가능하였고, 일제강점기에는 전차가 왕래하기도 했다.현대에는 서대문에서 아현동·신촌·서교동·영등포로 통하는 도로, 금화터널을 통해 연희·성산·화곡동으로 통하는 도로, 무악재를 통해 구파발·불광·홍제동으로 통하는 의주로 등의 간선도로들로 도심지와의 소통이 매우 편리하며, 도심과 영등포·강서·은평구 지역을 연결해준다. 또한 고양·문산으로 통하는 경의선이 통과한다. 나아가 본격적인 지하철시대가 개막되면서 도심 순환선인 2호선과 동서를 연결하는 3호선 및 6호선이 모두 서대문지역을 지나면서 더욱 교통이 편리해졌다.폭 40m 이상의 넓은 도로는 서대문로터리에서 아현3거리에 이르는 충정로를 비롯하여 홍은동에서 은평구 불광동으로 이어지는 통일로, 남가좌동 사천교에서 수색동으로 연결되는 수색로, 현저동 독립문에서 금화터널을 지나 영등포구로 연결되는 성산로, 충정로에서 신촌을 지나 동교동으로 이어지는 신천로 등이 주요 도로망을 형성하고 있다. 이 외에 창전로, 응암로, 연희로, 가좌로, 동교로, 증가로 등의 간선도로가 있으며, 연희동과 홍제동을 관통하는 내부순환도로가 있다.철도는 서울역과 문산 간을 연결하��� 경의선이 지나고 있으며 이 지역을 거치는 역은 신촌역, 가좌역, 수색역이 있다. 특히 신촌역은 1920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한 이래 지금까지 그 역사가 그대로 남아있어 최근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또한 서부역에서 출발하여 신촌역을 거쳐 벽제, 일영, 장흥, 송추 등을 경유하여 의정부역까지 순환하는 서울교외선이 있는데, 이 노선은 경의선의 신촌·가좌·수색역을 함께 이용하고 있다.지하철은 2호선과 3호선, 6호선이 이 지역을 통과한다. 지하철 2호선은 서울 강남과 강북의 도심권 43개 역을 순환하는 노선으로 1978년 3월에 착공하여 1984년 5월 완공되었다. 서대문구를 지나는 2호선 구간은 충정로역, 아현역, 이대입구역, 신촌역, 홍대입구역이 있고, 충정로역에서는 5호선을 갈아탈 수 있다. 그리고 지하철 3호선은 수서에서 대화까지 39개 역을 운행하는 전철로 1980년 착공, 부분적으로 개통을 시작하여 1985년 10월에 완전 개통되었으며, 서대문구간은 1985년 7월에 개통되었다. 서대문구를 지나는 3호선 구간은 독립문역, 무악재역, 홍제역이 있다. 지하철 6호선은 봉화산역에서 역촌역까지 38개 역을 운행하는 전철로 1994년에 착공하여 2001년 완전히 개통되었으며, 서대문구 지역은 2000년 12월 공사가 완료되었다. 서대문구를 지나는 6호선 구간은 수색역, 증산역이다. 관광 이 지역의 관광자원으로는 풍부한 문화재를 연결한 볼거리가 많이 산재해 있다. 특히 사적지인 서대문형무소역사관과 인근의 독립문 영은문주초 등을 두루 둘러볼 수 있는 서대문독립공원이 인기를 끌고 있다. 현저동에 있는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은 김구, 강우규를 비롯한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이 거쳐 갔던 옛 서대문 형무소 보안과 청사와 옥사로 사용하던 곳이다. 역사현장으로 보존하기 위해 옥사와 사형장, 망루와 시구문 등을 원형대로 복원하여 역사의 현장으로 보존하고 있다.1층에는 추모의 장을 만들어 일본의 침략에 맞서 분연히 일어선 애국지사들을 가두었던 서대문형무소를 첨단 영상시스템을 통해 조감해 보고, 그분들의 발자취를 직접 찾아보며 그 숭고한 넋을 기리도록 하였다. 2층에는 역사의 장을 만들었는데, 이곳은 나라 사랑에 불타는 선열들의 의거를 통해 우리의 암울했던 역사와 그 극복을 위한 저항 정신을 계승하고, 온갖 고문과 억압에도 굽힘이 없었던 역사의 현장을 다시금 되돌아보기 위해 구성되었다. 그리고 지하 1층에는 체험의 장을 개설하였는데, 이 장소는 최소한의 인간적인 조건조차 말살되고 폭력과 고문으로 인한 애국지사들의 신음이 아직도 들려오는 곳, 그러나 끝내 꺾이지 않던 그 분들의 용기를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살아있는 역사체험의 장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이어 2000년에 착공하여 2004년 문을 연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은 3층 규모로 인간과 자연 및 지구환경을 살펴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있어 많은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는 곳이다.이 외에도 연세대학교 안에 있는 옛 건물들과 안산 일대, 봉원사 경내와 영산재,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백련사 경내 등도 이 지역의 관광자원이다.신촌역을 중심으로 대학교가 밀집되어 있어 많은 학생들이 모이는데 특히 연세대학교 앞과 이화여자대학교 입구에 보다 집중되어 있다. 이화여대 입구에는 여학생들의 통행이 많은 관계로 양장점과 양품점 등의 상가가 발달되어 있고, 신촌로터리 주변에는 음식점과 주점 등이 대표적인 전문상가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모래내시장을 중심으로 해서는 서민들의 먹거리 문화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희동 일대에는 화교들을 위한 중국음식점들이 많이 들어서 있어서 중국에서 온 관광객들이 주로 찾는 곳이다.전통문화 행사로는 음력 새터지신밟기 행사와 봉원사에서 개최되는 영산제가 있다. 특히 영산제는 사전에 예약을 받아 개최되며 우리나라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현대 문화행사로는 젊음과 낭만이 가득한 신촌에서 지역 주민과 대학생이 함께하는 거리축제가 있다. 퇴폐 향락문화를 추방하고 건전한 대학문화의 정착과 지역문화 발전을 위해 개최되는 이 축제는 지역문화, 대학문화, 상가문화가 한데 어우러져 화합의 한마당을 연출한다. 대학촌의 특성에 어울리는 국악한마당, 락공연, 화합의 달리기, 응원제전 등과 외국인들도 참여할 수 있는 다채로운 행사로 구성되어 있다. 동(洞) 1. 남가좌동(南加佐洞)서대문구의 서부에 위치한 동이다. 동명은 이 마을에 가재가 있고 산에 둘러싸였기 때문에 ‘가재율’이라 부르던 자연 마을을 한자로 가좌동(加佐洞)이라 부르게 되었으며, 인구가 증가하면서 남북으로 나뉘었다. 조선시대 한성부 북부(北部, 城外) 가좌동계(加佐洞契) 가재율이었으며, 1895년 한성부 북서(北署) 연희방(성외) 가좌동1계에 속하였다. 1911년 경성부 연희면 가좌동1계 월사동이라 하였다가 1914년 경기도 고양군 연희면 남가좌리(南加佐里)로 변경되었다. 1936년 경성부에 편입되었고, 1946년 서대문구 남가좌동이 되었다. 행정동으로는 남가좌1동과 남가좌2동의 2개 동이 있다. 수색로 옆의 오래된 모래내시장은 서민들이 자주 찾는 곳이고, 대학으로는 명지대학교가 있다. 2. 냉천동(冷泉洞)서대문구의 동부에 위치한 동으로 냉천동의 행정은 천연동사무소에서 담당하고 있다. 동명은 마을 여기저기에서 찬 샘물이 솟아난 데서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서부(西部) 반송방(盤松坊) 지하계(池下契)였으며, 1895년 서서(西署) 반송방 지하계 이판동(李判洞)·냉동(冷洞)이라 하였다. 1914년 경성부 냉동이 되었고, 1936년 냉천정(冷泉町)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46년에 서대문구 냉천동이 되었으며, 행정업무는 1975년부터 천연동·옥천동과 함께 천연동사무소에서 담당하고 있다. 3. 대신동(大新洞)서대문구의 중부에 위치한 동이다. 동명은 1962년 대현동(大峴洞)의 ‘대’(大)자와 신촌동(新村洞)의 ‘신’(新)자를 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북부(성외) 아현계(阿峴契)였으며, 1895년에는 북서(北署) 연희방 아현2계 대현동·신촌이었다. 1911년 경성부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경기도 고양군 연희면 대현리·신촌리의 일부가 되었다. 1936년에 경성부 대현정(大峴町)·신촌정(新村町), 1946년에는 서대문구 대현동과 신촌동의 일부였다. 1962년에 두 지역을 통합하여 대신동이라 하였다. 4. 대현동(大峴洞)서대문구의 중부에 위치한 동으로 대현동의 행정은 대신동사무소에서 담당하고 있다. 동명은 아현동에서 신촌으로 넘어가는 고개를 대현(大峴)이라 한데서 유래하였다. 조선시대에 한성부 관할구역으로 한성부 북부 연희방(延禧坊, 城外) 아현계(阿峴契)였으며, 1895년 북서(北署) 연희방 아현2계 대현동, 아현4계 마근동(麻根洞)에 속하였다. 1911년 경성부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경기도 고양군 연희면 대현리로 불렸다. 1936년 경성부 대현정(大峴町)이 되었다가 1943년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서대문구 대현동이 되었다. 이곳에는 이화여자대학교가 있어 젊은이들이 붐비는 곳이며,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에는 국보 등 중요민속문화재들을 소장하고 있다. 또한 한국전통예술보존연구회가 있어 김덕수를 중심으로 전통예술 보존에 앞장서고 있다. 5. 미근동(渼芹洞)서대문구의 동부에 위치한 동으로 미근동의 행정은 충정로동사무소에서 담당하고 있다. 동명은 이 지역에 있던 미동(尾洞)의 ‘미’(尾)자와 근동(芹洞)의 ‘근’(芹)자를 땄는데, 후에 한자가 바뀌게 되었다. 조선시대 한성부 서부 반송방(盤松坊, 城外)에 속하였으며, 1895년 서서(西署) 반송방 노첨정계 미동·수근전계 근동으로 바뀌었다. 1914년 경성부 미근동(渼芹洞)이 되었고, 1936년 미근정으로 바꾼 후 1943년 서대문구에 속하게 되었다. 1946년에는 서대문구 미근동이 되었고, 행정은 합동사무소에서 담당하고 있다. 문화시설로는 서대문극장과 드림시네마(구 화양극장)의 영화관이 있고, 행정기관으로는 경찰청과 서대문경찰서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1896년 한성공립소학교(漢城公立小學校)에서 출발한 미동초등학교가 있다. 6. 봉원동(奉元洞)서대문구의 중부에 위치한 동으로 봉원동의 행정은 대신동사무소에서 담당하고 있다. 동명은 이 마을에 위치한 봉원사(奉元寺)란 절에서 유래하였다.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북부(北部) 성외에 속하였고, 1911년 경성부 연희면 봉원동이 되었으며, 1914년 경기도 고양군 연희면 봉원리가 되었다. 1936년 경성부 봉원정(奉元町)이 되었다가 1946년 서대문구 봉원동이 되었다. 이곳에 안산도시자연공원이 있어 가벼운 산책과 생활체육을 즐길 수 있은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동명의 유래가 된 전통사찰인 봉원사와 용암사가 있다. 7. 북가좌동(北加佐洞)서대문구의 서부에 위치한 동이다. 동명은 이 마을에 가재가 있고 산으로 둘러싸였기 때문에 ‘가재율’이라 부르던 자연 마을을 한자로 가좌동(加佐洞)이라 부르게 되었으며, 인구가 증가하면서 남북으로 나뉘었다. 조선시대 한성부 북부(北部, 城外) 가좌동이계(加佐洞二契)였으며, 1895년 한성부 북서(北署) 연희방(성외) 가좌동2계에 속하였다. 1911년 경성부 관할이 되었으며, 1914년 경기도 고양군 연희면 북가좌리(北加佐里)로 변경되었고, 광복 후 1946년에 서대문구 북가좌동이 되었다. 행정동은 북가좌1동과 북가좌2동의 2개 동이 있다. 8. 북아현동(北阿峴洞)서대문구의 동남부에 위치한 동이다. 동명은 애오개, 즉 아이고개에서 비롯되었으며, 1914년 아현의 북쪽에 위치하여 아현 북리라 한 것이 시초이다.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성외 지역이었으며, 1895년에는 한성부 서서(西署) 반송방 아현계·북부 연희방 아현1계로 하였다. 1911년 경성부 연희면(延禧面) 아현북리(阿峴北里)로, 1914년 경기도 고양군 연희면 아현북리로 칭하였다. 1936년 경성부 북아현정(北阿峴町)이 되었으며, 1943년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서대문구 북아현동이 되었다. 행정동은 북아현1동에서 3동까지 3개 동이 있다. 대학으로는 추계예술대학교가 있다. 9. 신촌동(新村洞)서대문구의 중부에 위치한 동으로 신촌동의 행정은 대신동사무소에서 담당하고 있다. 동명은 조선시대 ‘새터말’이라 부르던 것을 한자로 ‘신촌’이라 한데서 유래한다. 조선시대 한성부 북부(北部, 城外) 연희궁계(延禧宮契)에 속하였다가, 1895년에는 북서(北署) 연희방(성외) 아현2계 신촌으로 칭하였다. 1911년 경성부 연희면 신촌리로 하였으며, 1914년 경기도 고양군 연희면 신촌리가 되었다. 1936년 경성부 신촌정(新村町), 1943년에는 서대문구 소속이 되었으며, 1946년 서대문구 신촌동이 되었다. 연세대학교와 세브란스병원이 있어 학생들과 시민의 유동인구가 많은 곳이다. 10. 연희동(延禧洞)서대문구의 중부에 위치한 동이다. 동명은 이 마을에 조선 초 정종이 태종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머물렀던 연희궁(延禧宮 또는 衍禧宮) 터가 있던 데서 유래한다. 조선시대 한성부 북부 성외였으며, 1895년 한성부 북서(北署) 연희방 정자동계 정자동(亭子洞)·염동1계(廉洞1契) 염동(廉洞)·세교2계(世橋2契) 궁동(宮洞)·음월리계(陰月里契) 음월리(陰月里)였다. 1911년 경성부의 관할이 되었고, 1914년에는 경기도 고양군 연희면 연희리로 칭하였다. 1936년 경성부 연희정(延禧町)이 되었고, 1943년 서대문구 소속이 되었으며, 1946년에 서대문구 연희동이 되었다. 행정동은 연희1동에서 3동까지 3개 동이 있다. 문화시설로는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이 있고, 관공서로서 서대문구청, 서대문구민생활체육협의회가 있다. 그리고 외국인을 위한 서울외국인학교가 있으며, 화교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어 연희삼거리 일대에 화교음식점이 인기를 끌고 있다. 11. 영천동(靈泉洞)서대문구의 동부에 위치한 동으로 영천동의 행정은 천연동사무소에서 담당하고 있다. 동명은 현저동사무소 서쪽 산정에 속칭 ‘악밖골약수터’가 있으며, 이 물을 영천(靈泉)이라 불렀던 데서 유래한다. 조선시대 한성부 서부 반송방(盤松坊, 城外)에 속했으며, 1895년 서부 반송방 지하계 관전동(館前洞)·관후동(館後洞)·옥폭동(玉瀑洞)·장원정동(壯元亭洞)이라 하였다. 1911년 경성부 관할이 되었고, 1914년 경성부 관동(館洞)이라 하였다. 1936년 관동정(館洞町)으로 변경되었고, 1943년 서대문구 관할이 되었으며, 1946년에 서대문구 영천동이 되었다.1 2. 옥천동(玉川洞)서대문구의 동부에 위치한 동으로 옥천동의 행정은 천연동사무소에서 담당하고 있다. 동명은 옛날에 옥천암(玉川庵)이라는 조그만 암자가 있었던 데서 유래한다. 조선시대 한성부 서부 반송방(盤松坊, 城外)에 속했으며, 1895년 서부 반송방 지하계 옥폭동(玉瀑洞)·이판동(李判洞)이라 하였다. 1911년 경성부 관할이 되었고, 1914년 경성부 옥천동이라 하였다. 1936년 옥천정(玉川町)으로 변경되었고, 1943년 서대문구 관할이 되었으며, 1946년에 서대문구 옥천동으로 되었다.1 3. 창천동(滄川洞)서대문구의 남부에 위치한 동이다. 동명은 이 지역을 흐르는 하천인 창천(滄川)에서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성저십리(城底十里)였으며, 1895년 한성부 북서(北署) 연희방(성외) 아현3계 창천이라 하였다. 1911년 경성부 소속이 되었다가 1914년 경기도 고양군 연희면 창천리가 되었다. 1936년 경성부 창천정(滄川町)으로 변경되었고, 1943년 서대문구 관할이 되었으며, 1946년 서대문구 창천동으로 하였다. 문화시설로는 신영극장이 있다.1 4. 천연동(天然洞)서대문구의 동부에 위치한 동이다. 동명은 이 지역에 천연정(天然亭)이란 정자가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시대 한성부 서부 반송방(盤松坊, 城外)에 속했으며, 1895년 서부 반송방 지하계 석교동(石橋洞)·이판동(李判洞)이라 하였다. 1911년 경성부 관할이 되었고, 1914년 경성부 천연동이라 하였다. 1936년 천연정(天然町)으로 변경되었고, 1943년 서대문구 관할이 되었으며, 1946년 서대문구 천연동으로 하였다.1 5. 충정로동(忠正路洞)서대문구의 동부에 위치한 동으로 법정동인 충정로2가와 충정로3가의 행정은 충정로동사무소에서 담당하고 있다. 충정로의 동명은 충정공(忠正公) 민영환(閔泳煥)의 시호를 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시대 한성부 서부 반송방(盤松坊, 城外)에 속했으며, 1895년 서부 반송방 노첨정계(盧僉正契), 조판부사계(曺判府事契) 유동·팔각정, 수근답계(水芹畓契) 근동, 지하계(池下契) 냉동(冷洞), 차자리계(車子里契) 아현(阿峴)·형제정(兄弟井)이라 하였다. 1911년 경성부 관할이 되었고, 1914년 경성부 죽첨정2정목(竹添町2丁目)이라 하였다. 죽첨정은 갑신정변 때 일본공사 죽첨진일랑(竹添進一郞)이 충정로 부근의 민가에 거주한 일이 있었던 것을 기념하는 뜻으로 일제가 정하게 된 것이다. 1943년 서대문구 관할이 되었으며, 1946년 서대문구 충정로2가와 3가의 법정동으로 나뉘었다. 관공서로는 충정로3가에 해양수산부가 있고, 언론사로 동아일보사가 자리하고 있다. 지하철 5호선이 지나고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1 6. 합동(蛤洞)서대문구의 동부에 위치한 동이다. 합동의 행정은 충정로동사무소에서 담당하고 있다. 동명은 조선시대 어물 가운데 조개가 끊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곳을 ‘조개전’이라 하였고, 이것이 합동(蛤洞)이 된 것이라 전한다. 조선시대 한성부 서부 반석방(盤石坊), 반송방(盤松坊)에 속했으며, 1895년 서부 반석방 미전하계(米廛下契)·합동 한림동(翰林洞), 반송방 수근답계(水芹畓契) 근동(芹洞)이라 하였다. 1911년 경성부 관할이 되었고, 1914년 경성부 합동이라 하였다. 1936년 합정(蛤町)으로 변경되었고, 1943년 서대문구 관할이 되었으며, 1946년 서대문구 천연동이 되었다. 행정기관으로 서울시상수도사업본부가 있고, 프랑스대사관이 있다.1 7. 현저동(峴底洞)서대문구의 동부에 위치한 동으로 현저동의 행정은 천연동사무소에서 담당하고 있다. 현저동은 조선시대 중국 사신이 왕래하던 무악현(毋岳峴)의 밑에 위치한 마을 곧 ‘무악현저’(毋岳峴底)에서 유래하였다. 조선시대 한성부 서부 반송방(盤松坊)에 속했으며, 1895년 서서(西署) 반송방 지하계 모화현(慕華峴)이라 하였다. 1911년 경성부 관할이 되었고, 1914년 경성부 현저동이라 하였다. 1936년 현저정(峴底町)으로 변경되었고, 1943년 서대문구 관할이 되었으며, 1946년 서대문구 현저동으로 하였다.1 8. 홍은동(弘恩洞)서대문구의 서북부에 위치한 동이다. 동명은 홍제외리(弘濟外里)의 ‘홍’(弘)자와 은평면의 ‘은’(恩)자를 따서 붙여진 것이다. 조선시대에 한성부 성저십리(城底十里)였으며, 1895년에는 북서(北署) 홍은방(성외) 홍제원계 답동(畓洞)·백련동(白蓮洞)·외동(外洞)이라 하였다. 1911년 경성부 관할이 되었다가 1914년 경기도 고양군 은평면 홍제외리가 되었다. 1936년 경성부의 관할구역 확장 때 홍제외리 중에서 홍제천 좌변 지역만 경성부에 편입되었고, 1949년에 서대문구 홍은동이 되었다. 행정동은 홍은 1동에서 3동까지 3개 동이 있다. 동쪽으로 홍체천이 흐르고 하천을 따라 내부순환로가 지나며, 지하철 3호선이 관통하고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문화체육시설로 서대문문화체육회관, 전통사찰로 백련사가 있고, 대학으로는 명지전문대학이 있으며 이외에 그랜드힐튼호텔이 자리잡고 있다.1 9. 홍제동(弘濟洞)서대문구의 동북부에 위치한 동이다. 동명은 조선시대 중국 사신이 유숙하던 홍제원(弘濟院)이 있었던 데서 유래하였다. 조선시대 한성부 성저십리(城底十里)였으며, 1895년에는 북서(北署) 연은방(延恩坊, 성외) 홍제원계 내동이라 하였다. 1911년 경성부 관할이 되었다가 1914년 경기도 고양군 은평면 홍제내리가 되었다. 1936년 경성부 홍제정(弘濟町)이 되었고, 1943년 서대문구에 소속되었으며, 1949년에 서대문구 홍제동이 되었다. 서쪽으로 홍제천이 흐르고 내부순환로가 지나고 있으며, 지하철 3호선이 관통하고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AI 스피커 기반 신개념 기부 프로그램 ‘AI기브유’ 운영코로나로 위축된 기부 문화 ‘언택트’로 활성화 기대SK텔레콤(017670)은 유니세프 한국위원회와 함께 최신 ICT 기반의 기부 문화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이번 협력으로 양사는 지난 3월부터 공동 개발해 온 AI(인공지능) 스피커를 활용한 신개념 기부 프로그램 ‘AI 기브유(GiveU)’를 처음으로 선보이고 본격 운영에 나선다. AI 기브유는 AI 스피커 ‘누구(NUGU)’로 편리하게 기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이용자가 누구 호출어인 "아리아"를 ...
0 notes
thekoreanist · 4 years
Text
한 장군(韓將軍)놀이 Exorcism 한국민속대관
한 장군(韓將軍)놀이 Exorcism 신라시대인지 임진왜란 대인지 그 시기는 분명하지 않으나 경상북도 경산 지방에 쳐들어 온 왜구를 한(韓)장군이 연희(演戱)를 가장해서 물리친 데에 그 연유를 두고 있다. 여장(女裝)한 남자 화랭이〔화랑(花郞)〕의 유풍에다 여원무(女圓舞) 등을 곁들인 오랜 역사를 가진 민속놀이이다. 한 장군(韓將軍)놀이 - 2 Exorcism 언제부터인지는 분명치 않으나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산군(慶山郡) 자인(慈仁)에는 음력 5월 5일 단오절(端午節)이 되면 토지(土地)의 수호신으로서 한종유(韓宗愈)라는 장군을 숭사(崇祀)하여 성대히 제전(祭典)을 올리는 풍속이 있었다. 이 제전을 「한장군제(韓將軍祭)」라 불러 왔다. 이 제전이 단오절에 거행되므로 일명 「단오제(端午祭)」라고 부르기도 했고, 또 이 제전에는 여러 가지 민속놀이를 하므로 「한장군(韓將軍)놀이」라고도 한다. 이 한장군(韓將軍)의 이름은 자세하지 않으나 일설에 의하면 한종유(韓宗愈)라고 하는 이로서 어느 때 어디 사람인지는 분명치 않다. 다만 왜구(倭寇)가 내습하여 도천산(到天山)에 진을 치고 있을 때 한장군(韓將軍)이 그의 부하들을 버들못[柳池] 부근 골짜기에 매복시켜 놓고 계략을 꾸몄다. 그는 투구 위에 꽃으로 만든 꽃관(冠)을 쓰고 갑옷 위에는 여인(女人)의 복장으로 가장하고 그의 누이동생과 그 못가에서 춤을 덩실덩실 추어 산에 있는 적을 버들못 부근까지 유인하였다. 그리하여 적병이 접근하였을 때 복병(伏兵)으로 하여금 일시에 기습케 하여 적을 무찔러 군민(郡民)을 구했다고 한다. 그 때 한장군(韓將軍)은 수많은 적을 베어 버들못에 던졌으므로 그 때 못물은 핏빛으로 붉었다고 전한다. 그 후 군민(郡民)이 그의 충성과 덕을 우러러 계림(桂林)이라는 동산에 사당(祀堂)을 세우고 해마다 큰 제사를 올려 왔다. 그런데 왜적(倭敵)을 물리친 날이 바로 단오일이어서 이 날에 제사를 거행하여 왔다고 한다. 이 왜구(倭寇)는 고려 중엽 이후부터 조선조 초엽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와 중국 연안지대에까지 출몰하면서 인명과 재산을 약탈하던 일본(日本)[倭]의 해적이다. 이 왜구는 신라 때에도 있었지만 그때는 수와 피해가 많지는 않았으나 고려 중엽 이후 갑자기 강성하여 심지어는 내륙에도 침범하여 조정에서까지 이 왜구문제로 부심(腐心)하게 되었다. 왜구는 왜국의 국내 사정의 변동에 따라 무사(武士)에서 전략한 자들이 주동이 되는 일이 많았다. 고려 말에 와서는 왜구의 침입이 극심하여 최영(崔瑩) 장군과 이성계(李成桂) 등이 내륙에까지 들어온 적을 쳐 물리치기도 하였다. 당시의 왜구소탕(倭寇掃蕩)에는 병략가(兵略家) 최무선(崔茂宣)이 발명한 화약(火藥)과 화포(火砲)가 큰 효력을 발하였다. 왜구는 조선조에 들어와서도 그치지 않아 세종(世宗) 때에는 소굴인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하기도 하고, 혹은 삼포(三浦)[薺浦ㆍ 釜山浦ㆍ 監浦]를 개항(開港)하여 무역을 통해 회유도 해 보았다. 그러나 이들의 노략질은 여전하여 조선(漕船)을 탈취해 가는 등 행패가 여전하였고, 나중에는 임진왜란(壬辰倭亂)의 큰 난리를 겪게까지 되었다. 한종유(韓宗愈)라는 사람은 고려 때에 있었으니 충렬왕(忠烈王) 13년(A.D. 1287)에 나서 공민왕(恭愍王) 3년(A.D. 1354)에 죽었다. 그는 시문도 능했고 좌정승(左政丞)에까지 올랐던 인물이다. 그러나 이 한장군(韓將軍)이 바로 그 사람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동명이인(同名異人)이 많기 때문이다. 『자인현읍시(慈仁縣邑詩)』 풍속편(風俗篇) 여원무조(女圓舞條)에는 만력시(萬曆時)(編者曰萬曆時云者誤甚 今傳羅麗之間) 유한장군실기명(有韓將軍失其名)(或云宗愈) 왜구거도천산(倭寇據到天山) 장군설녀원무(將軍設女圓舞) 전채지위화(剪彩紙爲花) 식이원관(飾二圓冠) 관변수오색지조(冠邊垂五色紙條) 여기매(與其妹) 개장녀복(皆粧女服) 명대일관(名戴一冠) 무어산하류제지내(舞於山下柳堤之內) 우설배우잡희(又設俳優雜戱) 왜구하산취관(倭寇下山聚觀) 장군습후자지소살심중(將軍襲後刺之所殺甚衆) 제방유석상유검흔(堤防有石尙有劍痕) 속전참왜석(俗傳斬倭石) 매당시일제수색적운(每當是日堤水色赤云) 읍인모기의(邑人慕其義) 건신사우현서록(建神祠于縣西麓) 단오일(端午日) 상녀원지제(象女圓之制) 사동남이인장여복대면무지(使童男二人粧女服戴面舞之) 우설배우잡희격고명금(又設俳優雜戱擊鼓鳴金) 호장착모대이제(戶長着帽帶以祭) 연년불폐(年年不廢) 폐즉필유재이(廢則必有災異) 유속상전(遺俗相傳) 지금숭봉(至今崇奉) 표기기왈(標其旗曰) 장산제군사명(獐山諸軍司命) 우하동면육동송림동(又下東面六洞松林洞) 하북면마라동(下北面麻羅洞) 역립사례지(亦立祠禮之) 만력년간(萬曆年間)에 [編者는 말하기를 萬曆年間이라 한 것은 심히 잘못된 것이니 이제 전하기를 신라와 고려 사이라고 함] 이름은 전하지 않으나 성이 한씨(韓氏)인 장군이 있었다[혹은 宗愈라고 함]. 왜구가 도천산(到天山)에 웅거하였다. 이 때 장군은 여원무(女圓舞)를 만들어 채색종이꽃을 갓 두개에 장식하고 갓 가장자리에 오색 종이조각을 드린[늘어뜨려] 후 누이동생과 함께 쓰고 여장(女裝)으로 변장하고 산 아래 버들제방 안에서 춤추었다. 또한 그는 배우(俳優)들로 하여금 여러 가지 놀이를 하게 하니 왜구가 모두 산에서 내려와 구경했다. 이 때 장군은 틈을 타서 뒤로 엄습하여 칼로 찔러 죽인 자가 심히 많았다. 그 제방에는 돌이 있었는데, 아직도 그 돌에는 칼 흔적이 남아 있어 세상에서 전하기를 참왜석(斬倭石)이라 한다. 해마다 이 날이 돌아오면 방죽물이 붉게 변한다고 한다. 그 고을사람이 그 충의(忠義)를 사모하여 신사(神祠)를 고을 서쪽 산기슭에 세우고 단오일이면 여원무(女圓舞)의 제도를 본받아 사내아이 둘로 하여금 여복(女服)을 입히고 가면(假面)을 쓰고 춤추게 했다. 또 배우의 여러 가지 놀이를 베풀고 북을 치고 쇠를 올리면서 호장(戶長)이 사모관대를 하고 제사를 지내 해마다 폐하지 아니하였다. 만일 폐하면 반드시 재앙이 있을 것이므로 이에 생긴 풍속을 전하여 지금까지 숭봉(崇奉)하고 있다. 그 기(旗)에 표시하기를 「장산제군사명(獐山諸軍司命)」이라 하였고 또 하동면(下東面) 송림동(松林洞)과 하북면(下北面) 마라동(麻羅洞)에도 또한 사당을 세워서 제사를 지낸다고 하였다.
이상의 기록에 의하면 왜적(倭敵)이 쳐들어 온 연대를 막연히 나려지간(羅麗之間)이라 했는가 하면 또 만력(萬曆) 때 라고도 하였다. 만력(萬曆)은 중국 명(明)나라 신종(神宗)의 연호(年號)로서 1573년에서 1617년 동안이다. 우리나라 조선조 선조(宣祖) 6년에서 광해군(光海君) 6년까지에 해당한다. 여원무(女圓舞)는 해방 후에 간행된 『경산군지(慶山郡誌)』 상편(上篇)에도 거의 같은 기사가 실려 있고 참왜석(斬倭石)은 검흔석(劍痕石)이라 하였다. 검흔석(劍痕石) 좌현북일리(左縣北一里) 도천산류제방(到天山柳堤傍) 한장군참왜처검흔상재운이(韓將軍斬倭處劍痕尙在云爾) 검흔석(劍痕石)은 고을 북쪽 일리(一里)되는 도천산(到天山) 버들제방 가에 있는데 한장군(韓將軍)이 왜구를 벤 칼자욱이 아직도 남아 있다. 고 하였다. 또 당시 왜구가 웅거하였던 도천산성(到天山城)에 대하여서는 동서(同書)에 도천산상(到天山上) 유토성지(有土城址) 왜병소��운이(倭兵所築云爾) 도천산(到天山) 위에는 토성 자리가 있으니 이는 왜병이 쌓은 것이다. 라고 하였다. 이러한 사적(史蹟)은 지금도 남아 있다. 또 동서(同書)에는 북면마라동(北面麻羅洞) 우립일신당(又立一神堂) 일면지민(一面之民) 별제장군지매(別祭將軍之妹) 연년불폐(年年不廢) 폐즉필유재이(廢則必有災異) 유속상전(遺俗相傳) 지금숭봉(至今崇奉) 표기기왈장산사명(標其旗曰獐山司命) 사시본현속장산시(似是本縣屬獐山時) 유창의자(有倡義者) 이무문가미(而無文可微) 작일신총(作一神叢) 심가개기(甚可慨己) 건륭을유(乾隆乙酉) 현감정충언(縣監鄭忠彦) 중수신당(重修神堂) 관급제물(官給祭物) 작축문(作祝文) 사호장(使戶長) 비례축지(備禮祝之) 축문왈(祝文曰) 모기섬적(謀奇殲賊) 의병위국(義炳衛國) 기문영미(杞文英微) 사민기적(史泯其跡) 무전여원(舞傳女圓) 토유여속(土有餘俗) 검흔불마(劍痕不磨) 완피제석(宛彼堤石) 일간고묘(壹間古廟) 영안의백(永安毅魄) 단양조두(端陽俎豆) 세이위식(歲以爲式) 조여유황(旐旟有煌) 금고질작(金鼓迭作) 자수상전(玆修常奠) 재구공축(載具工祝) 어이장사(御以長詞) 선이늠속(饍以廩粟) 신기보우(神其保佑) 영전읍택(永奠邑宅) 북면(北面) 마라동(麻羅洞)에는 또 신당(神堂) 하나를 세우고 일면(一面)에 백성이 따로 장군의 누이동생을 제사지내어 해마다 폐(廢)하지 아니하였다. 만일 폐하면 반드시 재앙이 있으므로 없애지 아니하고 계속 지내온 풍속이다. 이 제사는 아직까지 숭봉(崇奉)하며 거기에 표시하기를 「장산사명(獐山司命)」이라 하였다. 아마도 본 고을이 장산(獐山)에 속하였을 때에 의병(義兵)을 일으킨 자가 있었던 듯하다. 그러나 이것을 증명할 만한 문적(文籍)은 없고 신당(神堂)만 하나 남아 있으니 심히 애석한 일이다. 건륭(乾隆) 을유년(乙酉年)에 현감(縣監) 정충언(鄭忠彦)이 신당(神堂)만 중수(重修)하고 관가(官家)에서 제물(祭物)을 주고 축문(祝文)을 지어 주어 호장(戶長)으로 하여금 예(禮)를 다하여 빌게 하였다. 축문(祝文)에 하였으되, 기특한 꾀로 도적을 멸하고 빛난 충의(忠義)로 나라를 호위하였으되 상고할 만한 문적이 없고 상고할 만한 자취가 없도다. 여원무(女圓舞)가 전하여지니 그 지방에 남은 풍속이 있으며 칼 흔적이 없어지지 아니하여 저 제방 돌에 완연히 남았도다. 한 칸 옛 사당(祠堂)에 길이 굳센 넋을 봉안(奉安)하고 단오(端午)에 제사드려 해마다 폐하지 않는도다. 깃발이 황황(煌煌)히 빛나고 징과 북이 번갈아 울리면서
연례의 전작(奠酌)을 드리고 또 약공(藥工)과 축문(祝文)을 갖추어 애오라지 긴 말로 빌고 관가(官家) 곡식으로 흠향케 하노니 신명(神明)을 보우(保佑)하여 길이 이 고을을 평안케 하소서. 하였다. 이 기록을 하면 북면(北面) 마라동(麻羅洞)에는 한장군(韓將軍)의 누이동생의 사당이 있었고 그 고을사람들은 그를 장산사명(獐山司命)이라 하여 수호신으로서 숭배하여 왔다. 그 후 조선조 영조(英祖) 41년(중국 淸의 高宗 30년 乾隆 乙酉年 A.D. 1765년)에 그 고을 현감(縣監) 정충언(鄭忠彦)이 중수(重修)하고 제물 및 축문으로써 예를 다하였다. 그리고 장산(獐山)이란 지명으로서 그 고을이 장산군(獐山郡)에 속하였을 때에 의병을 일으킨 자가 있었던 것 같다고 하였다. 자인(慈仁)이 경산군(慶山郡) 즉 장산군(獐山郡)에 속했던 것은 신라시대이고 조선조시대가 아니니 이로 미루어 보아 왜구(倭寇)가 쳐들어 온 것은 신라 때로 보이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의 일은 아닌 것이 분명하다. 장산(獐山)이 신라 때 경산군명(慶山郡名)이었다는 것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경산현(慶山縣) 건치연혁조(建置沿革條)에도 보인다. 본압량국(本押梁國)(一云押督) 신라기미왕취지치군(新羅祇味王取之置郡) 경덕왕개칭장산(景德王改稱獐山) 고려초개장산(高麗初改章山) 현종속경주(顯宗屬慶州) 명종치감무(明宗置監務) 충선왕초피왕혐명개금명(忠宣王初避王嫌名改今名) 충숙왕이국사일연지향승위현령(忠肅王以國師一然之鄕陞爲縣令) 공양왕이(恭讓王以) 왕비노씨지향륭위군본조(王妣盧氏之鄕隆爲郡本朝) 원래는 압량국(押梁國)었던 바 신라 기미왕(祇味王)이 이 고을에 군(郡)을 두었고, 경덕왕(景德王) 때 장산(獐山)이라고 고을 이름을 고쳤으며, 고려초에는 다시 장산(章山)이라고 고쳤다. 현종(顯宗) 때는 경주(慶州)에 속했고, 명종(明宗) 때에는 그 곳에 감무(監務)를 두었는데 충선왕(忠宣王) 초에 왕이 파천(播遷)하매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고 하였다. 필자는 앞에서 왜구(倭寇)의 자인(慈仁) 침입은 신라시대라 했거니와 그 지방 고로간(古老間)에 전승되어 오는 말에 의하면 지금으로부터 천수백 년 전 임나(任那)[高靈]에 있던 대가야(大伽倻)에 왜구가 침입하였을 때 한장군(韓將軍)이라는 이가 단북동(丹北洞) 도천산성(到天山城)에서 적을 격파하고 군민(郡民)을 구한 데서 사당을 지어 제전을 거행하여 온다고 한다. 필자는 이 전승에 신빙성을 두면서 왜구의 침입을 신라 경덕왕(景德王) 이후로 보며 이를 입증하기 위하여 임나(任那)와 왜인(倭人) 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우리나라 사학자들의 구명에 의하면 임나(任那)라는 명칭은 5세기 호태왕비(好太王碑)(A.D. 414)에 「임나가라(任那加羅)」라고 나온 것이 가장 오래고 『삼국사기(三國史記)』 강수전(强首傳)에는 「신본임나가량인(臣本任那加良人)」이라 기록되어 있다. 서기 924년에 건립된 신라의 진경대사탑비(眞鏡大師塔碑)에는 「기선임나왕족(其先任那王族)」이라고 한 것이 보이므로 임나(任那)의 용례(用例)는 분명하고 따라서 임나(任那)의 존재도 확실하다. 일본(日本) 학자들은 이 임나(任那)를 「미마나」라고 부르거니와 변진지방(弁辰地方)에 근거를 잡았던 왜(倭)의 세력을 이르는 명칭이다. 당시 왜(倭)는 낙랑(樂浪)ㆍ 대방군(帶方郡)[지금의 南原地方]에 통교(通交)하면서 남해안에 자주 왕래하게 되었다. 그들은 김해(金海)를 중심으로 무역을 활발히 하였고, 점차 경제적 세력이 커지자 정치적으로도 어느 정도 구체적으로 간섭하게 되었다. 수많은 왜인(倭人)이 이 지역에 드나들게 되자 그 중에는 그 곳에 정주(定住)한 자들도 생겼을 것이다. 그 간섭의 정도는 왜(倭) 세력의 강약에 비례되었을 것이다. 백제ㆍ 신라의 진출에 따라서 축출되었고 신라(新羅) 진흥왕(眞興王) 23년에 대가야(大伽倻)[高靈]의 침공으로 임나(任那)는 막을 내렸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 말하는 대가야(大伽倻)로 대표된 지방이 대체로 일본서 주장하는 임나(任那)의 제부락국(諸部落國)으로 볼 수 있다. 고구려 호태왕(好太王) 때 백제도 왜세(倭勢)의 발호로 인하여 백제도 흥기하자마자 그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왜(倭)와 백제의 중간 매개역할은 임나(任那)가 맡아 했을 것으로 보인다. 임나(任那)가 소멸할 무렵 왜(倭)는 회고적으로 말하기를, 백제(百濟)ㆍ 임나(任那)ㆍ 왜(倭)가 「삼문(三紋)의 강(綱)」[세 줄을 꼬은 동아줄]이라 비유도 하고 있거니와, 그 때 정세는 신라와 백제를 사이에 두고 고구려와 왜(倭) 사이에 눈부신 항쟁(抗爭)이 있었다. 여기에 단편적으로 엿보이는 「임나가라(任那加羅)」는 왜(倭)의 퇴수지(退守地)로 전쟁에 가담한 것 같다. 다만 그 실정을 파악할 자료가 결여되었을 뿐이다. 그리고, 『송서(宋書)』에는 서기 438년에 유사공헌(遺使貢獻)한 왜왕(倭王) 진(珍)이 「사특절도독왜백제신라임나진한모한지국제군사안동대장군왜국왕(使特節都督倭百濟新羅任那秦韓慕韓之國諸軍事安東大將軍倭國王)」이라 하였음을 보아 여기에 임나(任那)가 끼어 있는 것은 역시 왜(倭)와 관계가 있었던 흔적으로 볼 수 있다. 신라 진흥왕(眞興王) 이후 일본(日本) 왕정(王廷)에서는 임나(任那) 부흥을 표방하면서 수대(數代)를 지낸 것도 임나(任那)가 일찌기 왜(倭)의 경제적 정치적 근거가 된 시기가 있었다는 것을 말해 준다. 그러므로 임나(任那)는 당시 그 지역에 정주 내지 왕래한 왜인(倭人)들로써 한때 세력을 떨쳤던 무리들이 장산(獐山), 즉 자인(慈仁)까지 침입해 들어왔을 것이다. 이 때 군민(郡民) 중에 한(韓)씨성(性)을 가진 힘센 장사가 용맹과 지혜로 왜구를 물리쳤을 것이고 군민들은 그를 추앙하여 장군이라 하고, 죽은 뒤에는 사당을 지어 해마다 그를 위해 제사를 지내왔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그가 왜구를 물리친 날이 바로 단오일인지는 알 수 없는 일이다. 그 때가 야외(野外)놀이가 한창인 봄철이었던 것만은 분명하므로 신라의 명일(名日)인 수릿날 즉 단오일에 제사를 거행해 왔다. 따라서 뒷날 왜적을 물리친 날도 단오날로 믿게 된 것이 아닐까 한다.
필자는 1969년 봄에 경북지방 민속 재조사 때에 자인(慈仁)지방에서 특히 필자의 주목을 끈 한 출토품(出土品)을 보았다. 한(韓)장군 사당 부근에 있는 자인중학교(慈仁中學校) 교정 확장공사 때에 땅속 암석 위 석총(石塚)에서 장군의 유골 및 유품으로 보이는 두개골과 투구와 갑옷 등 금속물(金屬物)이 출토되었다. 또 거기에는 천 300년 전 것으로 추정되는 가야(伽倻)시대의 토기(土器) 몇 점이 나와 주목을 끌기도 했다. 그 곳 사람들 사이에 전해 오는 말에 의하면 한(韓)장군의 유해도 한(韓)장군 사당 부근에 묻혀 있다는 이야기이며 따라서 이 무덤과 유골 등은 한(韓)장군의 것이 틀림없으리라는 주장이었다. 이런 주장 속에서 우리는 한(韓)장군의 년대(年代)에 대하여 한 가닥의 암시를 발견하게도 된다. 한(韓)장군을 모시는 사당을 그 지방 사람들은 한묘(韓廟) 또는 한장군묘(韓將軍廟)라고 한다. 현재의 한(韓)장군 사당은 계림(桂林)에 있는 진충묘(盡忠廟) 하나뿐이다. 2차대전 전인 1936년 7월에 필자가 처음 보았을 때는 한묘(韓廟)라 하고 북서동(北西洞) 면사무소 뒤쪽에 세워진 것을 이한묘(二韓廟)라고 하였다. 일한묘(一韓廟)에는 그 위패가 「한장군지신위(韓將軍之神位)」라고 씌어 있었고 이한묘(二韓廟)의 위패에는 「증판서한장군지신위(贈判書韓將軍之神位)」라고 씌어 있었다. 이것으로 미루어 보아 이한묘(二韓廟)는 일한묘(一韓廟)보다는 뒤에 세워진 것으로서 조선조 때 국왕이 장군의 공을 상찬하여 판서(判書)라는 벼슬을 추중한 것을 기념하여 세운 것으로 생각된다. 이 이한묘(二韓廟)는 일제말(日帝末)에 일본인들이 허물어 없앤다. 1969년에 필자의 건의와 지방유지들의 활약 그리고 경산군(慶山郡)의 도움으로 이 한장군제전(韓將軍祭典)이 부활되었다. 1936년 필자의 첫 조사 때에는 이 제전이 단오 전후 3일간 계속되었다. 제전은 자인면(慈仁面)이 주최가 되고 제관(祭官)은 면장 또는 그 지방 유지 중에서 선정되었으며 제물(祭物)은 대체로 돼지ㆍ 닭(암ㆍ 수 두 마리)ㆍ술ㆍ 밤ㆍ 흰떡ㆍ 과일ㆍ 야채ㆍ 마른 생선 등이 사용되었다. 이 제전이 끝나면 일한묘(一韓廟) 앞에서 두 남자가 색종이를 길게 늘어뜨린 꽃관(冠)을 쓰고 수 10개의 꽃가지로 장식한 옷을 입고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빙글빙글 돌면서 춤을 추었다. 바로 이 춤을 여원무(女圓舞)라고 하며 이 춤은 옛날 한(韓)장군이 그의 누이동생과 함께 여자복장으로 위장하여 버들못가에서 왜적(倭敵)을 유인할 때 추었던 춤이라 한다. 일한묘(一韓廟) 앞에서 이 춤이 끝나면 이어서 이한묘(二韓廟) 앞에서 추고는 마친다. 다음에는 가장행렬이 진행되는데 조선조 때 현감(縣監) 복장을 한 가장(假裝) 현감이 가마에 타고 앞서면 그 뒤에 역시 가장(假裝)의 육방관속(六房官屬) 및 양반들이 수십 명 말을 타고 뒤따른다. 일한묘(一韓廟)ㆍ 이한묘(二韓廟)에 참배한 뒤 이어서 계림(桂林) 뒤쪽 진터[陣場]에서 기마(騎馬)싸움의 놀이를 한다. 계림(桂林) 언덕 위에서는 별도로 시문대회(詩文大會)의 백일장(白日場)과 젊은 부녀자들의 그네뛰기대회가 열리고 장터에서는 남자들의 씨름대회와 기생(妓生)ㆍ 광대(廣大)들의 소리와 춤, 재인(才人)들의 곡예(曲藝) 등이 열리어 거리는 온통 축제 분위기에 휩싸인다. 청금상련(聽琴賞蓮) Banquet around a Lotus Pond with Gisaeng 시대 / 조선시대 후기 크기 / 가로 35.3㎝, 세로 28.3㎝ 그린이 / 신윤복(申潤福) 소장 / 간송미술관(澗松美術館) 조선시대 사람들의 풍류생활에서 빼 놓을 수 없는 것이 기생(妓生)이다. 지체있는 사람들의 술좌석에는 기생들이 불려 와서 권주가를 불렀다. 후원 연못 가에 술자리를 마련하고 기생들과 어울리는 이 그림은 조선시대의 화가 혜원 신윤복이 그린 풍속도 중의 하나이다. 제비(祭費)는 면에서 경비를 부담하였고, 여흥의 민속놀이 비용은 상인(商人)과 요식업자ㆍ유지들의 기부금으로 충당하였다. 이 놀이는 민속예술의 하나로서 무대예술화하여도 좋겠지만 자인(慈仁)고을 특유의 연중행사의 하나인데 자인면민(慈仁面民) 모두가 즐길 수 있는 민속놀음의 하나로서 보존 육성할 만한 것이다. 이 민속놀이는 군민 전체의 생기진작(生氣振作)과 민중 감정을 융화시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AFMt0iMqic
0 notes
lunaticmoonarts · 4 years
Photo
Tumblr media
Some hell Joe fanart! Honestly he has my favorite design in all of tower of god! Commissions : AVAILABLE! Twitter - https://twitter.com/LunaticmoonArt Redbubble - lunaticmoonart.redbubble.com Displate : @ LunaticmoonArt #animedrawing #art #aesthetic #paintingaesthetic ##神之塔 #artistoninstagram #dailyart #dailysketches #doodle #tog #togfanart #towerofgod #towerofgodfanart #webtoonfanart #anime #fanart #神의塔 #animefanart#sketchbookart #sketchdaily #sketchdump #sketching #style #stylised #aesthetic #commission #commissions #신의탑 #dailydoodles #grinding #digitalart (at Sydney, Australia) https://www.instagram.com/p/CCLgQugDDTW/?igshid=h5sidt7zva0q
1 note · View note
lunaticmoonarts · 4 years
Photo
Tumblr media
Painted Hockney today! Commissions : AVAILABLE! Twitter - https://twitter.com/LunaticmoonArt Redbubble - lunaticmoonart.redbubble.com Displate : @ LunaticmoonArt #animedrawing #art #aesthetic #paintingaesthetic ##神之塔 #artistoninstagram #dailyart #dailysketches #doodle #tog #togfanart #towerofgod #towerofgodfanart #webtoonfanart #anime #fanart #神의塔 #animefanart#sketchbookart #sketchdaily #sketchdump #sketching #style #stylised #aesthetic #commission #commissions #신의 탑 #dailydoodles #grinding #digitalart (at Parramatta, New South Wales) https://www.instagram.com/p/CCECbsPDmVR/?igshid=17nmutdoo9fbk
1 note · View note
lunaticmoonarts · 4 years
Photo
Tumblr media
Painted #garamzahard ! I'm slowly trying to get used to stepping back from my canvas every now and then again! I liked how this came out! Commissions : AVAILABLE! Twitter - https://twitter.com/LunaticmoonArt Redbubble - lunaticmoonart.redbubble.com Displate : @ LunaticmoonArt #animedrawing #art #aesthetic #paintingaesthetic ##神之塔 #artistoninstagram #dailyart #dailysketches #doodle #tog #togfanart #towerofgod #towerofgodfanart #webtoonfanart #anime #fanart #神의塔 #animefanart#sketchbookart #sketchdaily #sketchdump #sketching #style #stylised #aesthetic #commission #commissions #신의 탑 #dailydoodles #digitalart (at Sydney, Australia) https://www.instagram.com/p/CCBpbgRjA3b/?igshid=10ebqxrb5003q
1 note · View note
lunaticmoonarts · 4 years
Photo
Tumblr media
Painted #yasratcha ! Thank you for all the support you guys have been giving me, I feel my art block fading away much faster now! Commissions : AVAILABLE! Twitter - https://twitter.com/LunaticmoonArt Redbubble - lunaticmoonart.redbubble.com Displate : @ LunaticmoonArt #animedrawing #art #paintingaesthetic #神之塔 #artistoninstagram #dailyart #dailysketches #doodle #tog #togfanart #towerofgod #towerofgodfanart #webtoonfanart #anime #fanart #神의塔 #animefanart#sketchbookart #sketchdaily #sketchdump #sketching #style #stylised #aesthetic #commission #commissions #신의 탑 #dailydoodles #digitalart (at Chatswood, New South Wales, Australia) https://www.instagram.com/p/CB_Jfboj5L_/?igshid=m57f520d67z5
1 note · View note
lunaticmoonarts · 4 years
Photo
Tumblr media
Honestly I'm going through a mini art block right now but I feel ill get it over with soon! Just gotta keep pushing through this mini block! Some more urek Mazino fanart but it doesn't compare to the last one haha Commissions : AVAILABLE! Twitter - https://twitter.com/LunaticmoonArt Redbubble - lunaticmoonart.redbubble.com Displate : @ LunaticmoonArt #animedrawing #art #aesthetic #paintingaesthetic ##神之塔 #artistoninstagram #dailyart #dailysketches #doodle #tog #togfanart #towerofgod #towerofgodfanart #webtoonfanart #anime #fanart #神의塔 #animefanart#sketchbookart #sketchdaily #sketchdump #sketching #style #stylised #aesthetic #commission #commissions #신의 탑 #dailydoodles #grinding #digitalart (at Sydney, Australia) https://www.instagram.com/p/CB8Zt1wj71e/?igshid=naqt6v9n7h7d
1 note · View note
lunaticmoonarts · 4 years
Photo
Tumblr media
Back into tower of god fanart! I really like black marches aesthetic, but I don't think I did it well also recently I feel my sketches are better than the final lately! Commissions : AVAILABLE! Twitter - https://twitter.com/LunaticmoonArt Redbubble - lunaticmoonart.redbubble.com Displate : @ LunaticmoonArt #animedrawing #art #aesthetic #paintingaesthetic ##神之塔 #artistoninstagram #dailyart #dailysketches #tog #togfanart #towerofgod #towerofgodfanart #webtoonfanart #anime #fanart #神의塔 #animefanart#sketchbookart #sketchdaily #sketchdump #sketching #style #stylised #aesthetic #commission #commissions #신의 탑 #dailydoodles #grinding #digitalart #blackmarch (at Sydney Australia) https://www.instagram.com/p/CB57eu5DxFv/?igshid=zjijwk6a050q
1 note · View note
lunaticmoonarts · 4 years
Photo
Tumblr media
I really liked Serena from tog, I always love the side characters alot in most series I'm into ! #신의탑 #towerofgodfanart #togfanart #animedrawing #art #aesthetic #paintingaesthetic #togserena #serenarinnen #artistoninstagram #dailyart #dailysketches #doodle #tog #togfanart #towerofgod #towerofgodfanart #webtoonfanart #anime #fanart #神의塔 #animefanart#sketchbookart #sketchdaily #sketchdump #sketching #aesthetic #commission #commissions (at Sydney, Australia) https://www.instagram.com/p/CGhwWpCD6FC/?igshid=rzhy51pm1fzo
0 notes
lunaticmoonarts · 4 years
Photo
Tumblr media
I got some new brushes when digging around the clip studio store! It was supposed to be a sketch of reflejo from tower of god but then I got carried away! I hope you all enjoy, reflejo was one of my fav character designs Commissions : AVAILABLE! Twitter - https://twitter.com/LunaticmoonArt Redbubble - lunaticmoonart.redbubble.com Displate : @ LunaticmoonArt #animedrawing #art #aesthetic #paintingaesthetic ##神之塔 #artistoninstagram #dailyart #dailysketches #doodle #tog #togfanart #towerofgod #towerofgodfanart #webtoonfanart #anime #fanart #神의塔 #animefanart#sketchbookart #sketchdaily #sketchdump #sketching #style #myaitcreative #aesthetic #commission #commissions #신의탑 #dailydoodles #grinding #digitalart (at Sydney, Australia) https://www.instagram.com/p/CDD6H6hD8yU/?igshid=1slbcd91l8pcr
0 notes
lunaticmoonarts · 4 years
Photo
Tumblr media
I painted beta! I really love how this one turned out! 1 more day of fanart and I think it's time for me to go back to studying and gitting gud Commissions : AVAILABLE! Twitter - https://twitter.com/LunaticmoonArt Redbubble - lunaticmoonart.redbubble.com Displate : @ LunaticmoonArt #animedrawing #art #aesthetic #paintingaesthetic ##神之塔 #artistoninstagram #dailyart #dailysketches #doodle #tog #togfanart #towerofgod #towerofgodfanart #webtoonfanart #anime #fanart #神의塔 #animefanart#sketchbookart #sketchdaily #sketchdump #sketching #style #stylised #aesthetic #commission #commissions #신의탑 #dailydoodles #grinding #digitalart (at Sydney, Australia) https://www.instagram.com/p/CCWONwIjP-e/?igshid=4oi4sa5c5es1
0 notes
lunaticmoonarts · 4 years
Photo
Tumblr media
I painted dowon! I got home late tonight so I didn't have much time to paint, also I'm quite tired but I wanna show y'all that I ain't a perfect machine every single day! I did learn a few things though! Commissions : AVAILABLE! Twitter - https://twitter.com/LunaticmoonArt Redbubble - lunaticmoonart.redbubble.com Displate : @ LunaticmoonArt #animedrawing #art #aesthetic #paintingaesthetic ##神之塔 #artistoninstagram #dailyart #dailysketches #doodle #tog #togfanart #towerofgod #towerofgodfanart #webtoonfanart #anime #fanart #神의塔 #animefanart#sketchbookart #sketchdaily #sketchdump #sketching #style #stylised #aesthetic #commission #commissions #신의탑 #dailydoodles #grinding #digitalart https://www.instagram.com/p/CCRBZT5Dx5d/?igshid=19ajqvgnzye3
0 notes